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4 차 산업 혁명 로봇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https://toplist.aseanseafoodexpo.com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4 차 산업 혁명 로봇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의 본질,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4차 산업혁명 기술 종류, 4차 산업혁명 \공학,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 8가지, 4차 산업혁명 유래, 4차 산업혁명 특징
Table of Contents
02 – 인공지능 로봇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새로운 플랫폼 – 기술과혁신 웹진
- Article author: niceq.xehub.net
- Reviews from users: 30854
Ratings
- Top rated: 4.8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02 – 인공지능 로봇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새로운 플랫폼 – 기술과혁신 웹진 자동차, 컴퓨터, 스마트폰에 이어 로봇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신성장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환경과 사람을 보고 듣고 대화하며 행동하는 인공지능 로봇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02 – 인공지능 로봇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새로운 플랫폼 – 기술과혁신 웹진 자동차, 컴퓨터, 스마트폰에 이어 로봇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신성장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환경과 사람을 보고 듣고 대화하며 행동하는 인공지능 로봇 … 02 – 인공지능 로봇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새로운 플랫폼 ▲ 장병탁 교수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자동차, 컴퓨터, 스마트폰에 이어 로봇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신성…
- Table of Contents:
02 – 인공지능 로봇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새로운 플랫폼
(사)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4차 산업혁명 대세는 로봇! 망설임 없이 ‘로봇캠퍼스’ 선택했죠” – 정책뉴스 | 뉴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Article author: www.korea.kr
- Reviews from users: 18249
Ratings
- Top rated: 4.0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4차 산업혁명 대세는 로봇! 망설임 없이 ‘로봇캠퍼스’ 선택했죠” – 정책뉴스 | 뉴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로봇분야 인력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입니다. 최고의 시설과 교수진을 갖춘 로봇캠퍼스가 RNA(Robot, Network, AI)에 능통한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4차 산업혁명 대세는 로봇! 망설임 없이 ‘로봇캠퍼스’ 선택했죠” – 정책뉴스 | 뉴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로봇분야 인력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입니다. 최고의 시설과 교수진을 갖춘 로봇캠퍼스가 RNA(Robot, Network, AI)에 능통한 대한민국 정책브리핑,KOREA.KR,정책브리핑,정책포털,대한민국정책,대한민국,정부정책,정책,정책코리아,한국판 뉴딜,한국판 ‘뉴딜 체험현장’,한국판 뉴딜 현장체험,폴리텍 로봇캠퍼스,대한민국 대전환,한국판 뉴딜_ing,디지털 뉴딜,디지털 뉴딜_ing,국내유일 로봇특성화대학/“4차 산업혁명 대세는 로봇! 망설임 없이 ‘로봇캠퍼스’ 선택했죠”“4차 산업혁명 대세는 ‘로봇’ 주저없이 ‘로봇캠퍼스’ 선택했죠”“강의실에서 현장까지! 취업 향한 직진코스~”“기술의 미래는 R.N.A 에 달렸습니다”디지털 뉴딜은정부는 디지털 뉴딜 분야에 2025년까 – 정책브리핑 | 뉴스 | 정책뉴스
- Table of Contents:
img-news
콘텐츠 영역
한국판 뉴딜 현장체험 – 폴리텍 로봇캠퍼스 2편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뉴스TOP10
국민이 말하는 정책
최신뉴스
‘코로나19 대응’ 정책포커스
기고칼럼
오늘의 포토

트렌드 – KOTRA 해외시장뉴스 상품·산업 | 트렌드
- Article author: news.kotra.or.kr
- Reviews from users: 42103
Ratings
- Top rated: 4.1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트렌드 – KOTRA 해외시장뉴스 상품·산업 | 트렌드 산업 영역의 자동화는 로봇 기술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최근에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들이 로봇 기술과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트렌드 – KOTRA 해외시장뉴스 상품·산업 | 트렌드 산업 영역의 자동화는 로봇 기술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최근에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들이 로봇 기술과 …
- Table of Contents:
사이트맵
포스트 코로나 시대 4차 산업혁명은 어디로 ③ 차세대 로봇

4차 산업혁명 대응 산업용 로봇과 전문서비스 로봇 발전 방향 – 기술과혁신 웹진
- Article author: webzine.koita.or.kr
- Reviews from users: 28906
Ratings
- Top rated: 3.5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4차 산업혁명 대응 산업용 로봇과 전문서비스 로봇 발전 방향 – 기술과혁신 웹진 4차 산업혁명 대응 산업용 로봇과 전문서비스 로봇 발전 방향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요소인 스마트 공장의 확산, 고령화와 서비스 인력 부족으로 산업용 로봇과 전문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4차 산업혁명 대응 산업용 로봇과 전문서비스 로봇 발전 방향 – 기술과혁신 웹진 4차 산업혁명 대응 산업용 로봇과 전문서비스 로봇 발전 방향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요소인 스마트 공장의 확산, 고령화와 서비스 인력 부족으로 산업용 로봇과 전문 … 4차 산업혁명 대응 산업용 로봇과 전문서비스 로봇 발전 방향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요소인 스마트 공장의 확산, 고령화와 서비스 인력 부족으로 산업용 로봇과 전문서비스 로봇의 수요가…
- Table of Contents:
4차 산업혁명 대응 산업용 로봇과 전문서비스 로봇 발전 방향
(사)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제4차 산업 혁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Article author: ko.wikipedia.org
- Reviews from users: 24434
Ratings
- Top rated: 4.7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제4차 산업 혁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4차 산업 혁명(第四次 産業 革命, 영어: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IR)은 정보통신 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루어지는 차세대 산업 혁명이다. 18세기 초기 산업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제4차 산업 혁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4차 산업 혁명(第四次 産業 革命, 영어: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IR)은 정보통신 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루어지는 차세대 산업 혁명이다. 18세기 초기 산업 …
- Table of Contents:
산업 혁명[편집]
제4차 산업 혁명의 본질[편집]
각 나라의 제4차 산업 혁명의 이름 및 활동[편집]
제4차 산업 혁명의 요소 기술[편집]
참고 문헌[편집]
참조[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국회휴먼네트워크 전문가 서평]4차 산업혁명 로봇산업의 미래
- Article author: www.naon.go.kr
- Reviews from users: 11002
Ratings
- Top rated: 3.1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국회휴먼네트워크 전문가 서평]4차 산업혁명 로봇산업의 미래 이 책은 1장 ‘로봇시대의 서막’에서 소개하듯이 최근의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BigData)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로봇기술이 어떻게 발전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국회휴먼네트워크 전문가 서평]4차 산업혁명 로봇산업의 미래 이 책은 1장 ‘로봇시대의 서막’에서 소개하듯이 최근의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BigData)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로봇기술이 어떻게 발전 …
- Table of Contents:
발행물 및 보고서
[국회휴먼네트워크 전문가 서평]4차 산업혁명 로봇산업의 미래재미있고 유익한 국회소식
![[국회휴먼네트워크 전문가 서평]4차 산업혁명 로봇산업의 미래](https://naon.go.kr/content/image/2020/03/31/6805e22e-9127-461b-a80f-354c7ef16e5e.jpg)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살아남는 방법
- Article author: brunch.co.kr
- Reviews from users: 15136
Ratings
- Top rated: 3.0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살아남는 방법 feat. 무엇이 성과를 이끄는가? | 4차 산업혁명이란 AI와 IoT, 로봇기술, 드론 가상현실 등이 주도가 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말한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살아남는 방법 feat. 무엇이 성과를 이끄는가? | 4차 산업혁명이란 AI와 IoT, 로봇기술, 드론 가상현실 등이 주도가 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말한다. feat. 무엇이 성과를 이끄는가? | 4차 산업혁명이란 AI와 IoT, 로봇기술, 드론 가상현실 등이 주도가 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말한다. 이는 1, 2, 3차 산업혁명과는 달리 대규모의 기술들이 융복합되어 엄청난 파급력을 이룰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1784년 영국에서 시작된 증기기관과 기계화로 대표되는 1차 산업혁명 ▷1870년 전기를 이용한 대량생산이 본격화된 2차
- Table of Contents: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Toplist.aseanseafoodexpo.com/blog.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새로운 플랫폼
02 – 인공지능 로봇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새로운 플랫폼
▲ 장병탁 교수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자동차, 컴퓨터, 스마트폰에 이어 로봇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신성장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환경과 사람을 보고 듣고 대화하며 행동하는 인공지능 로봇의 출현은 미래 사회에서 인간의 삶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글로벌 연구 동향과 미래 발전 방향을 조망하고 우리나라가 선도하기 위해서는 어떤 전략이 필요한지를 짚어본다.
들어가면서
왓슨, 시리, 알파고, 자율주행자동차 등 최근 5년 사이에 일어나고 있는 인공지능 혁신과 지능 폭발 현상은 그 이전 50년 동안의 기술 발전을 무색하게 하고 있다.
인터넷을 통해서 축적된 빅데이터와 향상된 컴퓨팅 파워를 기반으로 딥러닝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세상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사물인터넷과 결합되어 앞으로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술에 의해서 정보기술뿐만 아니라 의료, 금융, 제조, 유통 등 산업 전반을 혁신하고 나아가 사회와 인간 삶의 근본을 변화시킬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것이 바로 4차산업혁명이다. 4차 산업혁명은 가트너그룹이 “스마트 머신”이라고 지칭한 새로운 종의 제품과 서비스들을 등장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스마트머신 중에서도 특히 환경을 인식하고 사람과 교감하는, 즉 “보고, 듣고, 행동하는” 인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은 새로운 미래 먹거리로서 다른 어떤 제품보다 그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된다.
인공지능 로봇이 미래 신산업으로 부상하는 이유를 사회적, 경제 산업적, 과학기술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미래 사회에서는 점차 업무 시간이 단축되고 여가활동이 늘어나면서 업무 효율 향상을 필요로 한다. 특히 단순 작업 수준을 넘어서 인간의 인지 능력을 보조하고 대신하는 새로운 장치와 서비스가 필요하다.
최근 상용화에 들어간 가상 비서, 퍼스널 어시스턴트, 챗봇 등의 가상 로봇이 그러한 예이며 향후 점차 신체성을 갖고 물리적인 작업도 돕는 인공지능 로봇으로 진화할 것으로 보인다.
• 경제 산업적으로 볼 때 점차 가상 세계의 인터넷/소프트웨어 산업과 현실 세계의 제조업/하드웨어 산업의 융합을 통해 신경제와 신산업이 탄생하고 있다.
1970년대 개인용 컴퓨터가 등장하면서, 그리고 1990년대에는 인터넷이 등장하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기업들이 탄생한 것처럼, 지금이 바로 가상 세계와 물리 세계가 만나면서 신산업이 탄생하고 있는 시기이다.
인공지능 로봇은 이 폭풍의 핵이 될 새로운 종의 플랫폼이다.
• 과학기술적인 면에서 볼 때 로봇과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는 지난 50년 동안 꾸준히 발전하였으며 각각 산업화의 기반이 확립되었다.
이제는 이 둘이 융합할 시기이며, 산업용 로봇과 이동로봇 등 로봇 하드웨어 기술의 바탕 위에 지각 인지 행동에 대한 로봇 소프트웨어 기술을 결합함으로써 가상 세계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세계에서도 인공지능 서비스가 가능한 체화된 인공지능 시스템이 탄생할 준비가 되어 있다.
인공지능 로봇의 형태
인공지능 로봇은 물리적 환경에 놓여서 대상 및 사람과 보고 듣고 대화하며 상호작용하면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로봇의 형태는 다양하며 신체성(몸, Body)과 지능성(마음, Mind)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신체성 측면에서 볼 때, 인공지능 로봇은 센서, 모터, 팔, 손, 다리 등의 다양한 형태의 몸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서 공간을 지각하고 이동하고 물건을 조작하는 능력이 있다.
한편, 지능성 관점에서는 환경에 대한 지각 능력, 사람과의 상호작용 능력, 자율적인 계획과 판단에 의한 행동 능력이 중요하다.
여기서는 편의상 신체성 관점에서 최소의 신체성을 갖는 가상 로봇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차 눈, 발, 손을 가지지만 이동은 하지 않는 고정형, 그리고 여기에 공간 이동 능력을 추가한 이동형, 그리고 주변의 물건을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을 보탠 조작형의 인공지능 로봇 순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스마트폰/웨어러블 장치 기반 대화로봇과 챗봇
지난 50년 동안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기술은 눈부신 발전을 하였다.
최근 10년 사이에는 특히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의 대중화에 힘입어 빅데이터가 쌓이고 머신러닝/딥러닝 알고리즘이 발전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하드웨어적 컴퓨팅 파워의 증가로 인공지능 시스템의 성능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음성인식 문제가 딥러닝 기술로 해결됨에 따라서 최근 음성 대화형 비서 로봇이 상용화 수준에 이르고 있다.
2011년에 스마트폰 앱으로 나온 애플 시리(Siri)를 필두로 지난 몇 년 사이에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타나(Cortana), 페이스북의 엠(M), 구글의 나우(Now) 및 어시스턴트(Assistant) 등 대화로봇/챗봇들이 등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금융 서비스를 도와주는 챗봇 형태의 로보 어드바이저, 신문 기사를 써 주는 로봇 저널리스트 등 가상 로봇들의 수가 늘고 있다.
스마트폰 대신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로 된 인공지능 로봇 서비스도 가능하다.
손목에 차는 스마트 워치나 안경 형태의 스마트 글라스를 로봇으로 볼 경우 여기에 속한다.
웨어러블 장치 특성상 이동 중에도 센싱이 되고 항상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보다는 다양한 종류의 실세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인공지능 로봇의 예는 미래부 소프트웨어 스타랩 프로젝트로 서울대 인지로봇인공지능센터(CRAIC)에서 진행하고 있는 ALTA 웨어러블 인지로봇이 있다.
고정형 인공지능 대화 로봇
최근 스마트 스피커 형태의 음성 기반 인공지능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아마존은 2014년에 처음으로 에코(Echo)라는 스마트 스피커를 출시하여 음성 언어로 명령을 주면 이를 시행하는 대화 로봇을 선보였다.
2016년에는 구글이 홈(Home)이라는 스마트 스피커 디바이스를 선보였고 국내에서도 SKT가 누구(Nugu)라는 음성 기반 인공지능 스피커를 출시하였다.
MIT에서 창업한 지보라는 회사에서는 시각 기능까지 가진 대화형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지보(Jibo)는 스피커형의 로봇보다 한발 더 진화한 소셜로봇으로 카메라를 장착하고 고개를 돌릴 수 있어 주변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특별한 형태의 인지로봇은 사람과 같이 아주 미세한 얼굴 표정을 지을 수도 있다.
핸슨 로보틱스에서 만든 인간형 얼굴 로봇인 소피아(Sophia)는 눈동자, 눈썹, 입, 입술, 안면 근육 움직임을 통해서 거의 인간의 표정과 유사한 얼굴 표정을 연출할 수 있다.
이동형 인공지능 로봇
바퀴나 다리를 가지고 공간을 이동할 수 있는 로봇은 그 서비스의 범위가 고정형 로봇보다 뛰어나다.
독일의 프라운호퍼 연구소에서 만든 Care-o-bot과 윌로우 가라지에서 제작한 PR2 로봇이 그러한 예이다.
일본의 소프트뱅크 로보틱스는 프랑스의 알데바란을 인수하여 이동형 소셜로봇 페퍼(Pepper)를 상용화하였다. CMU의 Cobot과 Microsoft의 안내 로봇은 입구에서 손님을 맞이하여 사무실까지 안내를 할 수 있다.
세비오키의 대쉬(Dash), 유진로봇의 터틀(Turtle), 블루 프로그의 버디(Buddy), 더블 로보틱스의 더블(Double), 써로마인드 로보틱스의 오페어(Aupair) 등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다양한 지능형 로봇들이 최근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로봇은 가정, 상점, 호텔 등 넒은 공간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시각능력을 갖고 언어를 통해 사람들과 소셜한 대화를 수행할 수 있어 안내원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사람처럼 걷는 보행 로봇도 연구되고 있다.
일찍이 혼다에서 개발한 아시모(Asimo)는 평지와 계단에서의 이족 보행 능력을 데모하였다.
보스턴 다이나믹스에서는 이족 보행 로봇 아틀라스(Atlas)를 개발하여 눈이 쌓인 숲과 언덕을 넘어지지 않고 걸을 수 있음을 데모하였다.
조작형 인공지능 로봇
궁극적으로 인공지능 로봇은 팔과 손과 손가락을 가지고 물건을 잡고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것이다.
뮌헨공대와 브레멘 대학에서는 부엌에서 요리를 하는 키친 로봇을 연구하고 있다.
PR2와 쿠카 팔 로봇을 이용하여 소시지를 데워서 썰어서 아침을 서빙하거나 팝콘이나 피자를 만들어 주는 로봇을 데모하였다.
손과 손가락의 기구학적 발전과 센서 기술이 상대적으로 발전이 늦어서 아직까지 마음대로 물건을 들어 조립하거나 조작하는 것을 할 수 있는 로봇이 많지 않다.
현재는 많은 로봇들이 물건을 잡을 때 두 개의 손가락을 밀어서 물건을 사이에 넣고 있으나, 손가락 마디가 있어서 여러 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물건을 잡는 로봇 손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조작은 미세한 힘과 압력을 느끼는 센서 기술을 필요로 한다. 최근 부드러운 물건을 잡을 수 있는 소프트 로봇 기술도 발전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대세는 로봇! 망설임 없이 ‘로봇캠퍼스’ 선택했죠”
RNA(Robot, Network, AI) 분야
K-로봇 인재를 꿈꾸는
100명의 학생들을 만나러
국내 유일 로봇 특성화 대학
한국폴리텍대학 로봇캠퍼스에
대한민국 정부가 다녀왔습니다.
“4차 산업혁명 대세는 ‘로봇’
주저없이 ‘로봇캠퍼스’ 선택했죠”
_오도경 로봇자동학과 1학년
미래산업의 필수요소인 로봇을 배우기에 여기 만큼 좋은 곳은 없을 거예요!
로봇 전문가는 기계·전자공학, 인공지능을 아우르는 고도의 융합지식이 필요한데,
전공 초월한 ‘통합교육’을 받을 수 있어요.
#설계-시제품 제작_모든 공정 실습 #멀티테크니션_융합인재 양성
“강의실에서 현장까지!
취업 향한 직진코스~”
_김민경 로봇IT과 1학년
기업 전문가와 재학생을 연결하는 ‘1인 1기업 멘토 프로그램’ 덕분에 취업 걱정을 덜었어요.
기업이 원하는 현장 실무능력을 쌓으며, 취업까지 성공할 수 있는데요.
학교 공부가 취업으로 직접 연결되니 불안은 사라지고 꿈은 커졌어요!
#68개 로봇 전문기업_‘맞춤형 교육’ 협약 #산업현장 바로 투입_실무인재 육성
“기술의 미래는
R.N.A 에 달렸습니다”
_공재성 로봇전자과 교수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로봇분야 인력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입니다.
최고의 시설과 교수진을 갖춘 로봇캠퍼스가 RNA(Robot, Network, AI)에 능통한
전문인력 양성에 앞장서겠습니다.
#신기술 직업교육_디지털 뉴딜 핵심 #청년 일자리_마중물 역할
디지털 뉴딜은
세계를 전도하는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올해 정부가 선언한 ‘한국판 뉴딜’의 세 가지 전략 중 하나입니다!
디지털 뉴딜은 우리나라 경제 전반의
디지털 혁신과 역동성을 촉진해
대한민국의 대전환을 이루는 전략
정부는 디지털 뉴딜 분야에
2025년까지
42조원 투자해
폴리텍 로봇캠퍼스와 같은 전문인력 양성 인프라가 더욱 많아지도록
최선을 다해 디지털 뉴딜 추진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 보러가기
트렌드 – KOTRA 해외시장뉴스
– 코로나19로 언택트 기술의 관심도와 수요 증가로 차세대 로봇 주목 –
– 차세대 로봇은 각 산업 현장 내지 민간 부분에서 새롭게 발굴되는 수요를 충족시킬 것 –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차세대 로봇
미래에는 로봇이 경제 주요 구성원이 될 것이라는 내용의 책을 쓴 미래학자 마틴 포드는 “코로나19가 소비자의 패턴을 바꾸면서 ‘자동화’라는 새로운 기회의 문이 활짝 열렸다”고 설명한다. 이와 같이 각계 전문가들은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주요 변화로 산업 영역의 자동화를 논하고 있다. 산업 영역의 자동화는 로봇 기술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최근에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들이 로봇 기술과 융합하면서 로봇 기술은 더욱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로봇은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스스로 상황을 판단해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기계이다. 보편적으로 로봇은 산업용 로봇과 서비스 로봇으로 구분지을 수 있다. 산업용 로봇은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자동화 로봇, 인간과 협력하는 코봇(co-bot), 인간의 안전과 작업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웨어러블 로봇 등으로 진화하면서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서비스 로봇은 물류, 배송, 전문서비스 로봇으로 구분되며 전문 서비스 로봇은 의료, 서빙, 요리 등 다양한 인간의 활동영역에서 활용된다. 코로나19로 언택트 기술의 관심도와 중요도가 커지면서 이들 로봇 기술 중에서도 기존의 로봇과 차별화되는 상황판단기능과 자율동작기능이 추가돼 사람과 협력하는 차세대 로봇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주목받고 있다.
인간과 협업하는 코봇
먼저 물리적으로 공유되는 작업 공간에서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코봇(co-bot)은 산업현장에서 포장·기계 사용을 위한 구성요소 로드와 언로드, 조립 등에 이용된다. 시장조사기관인 Grand View Research에 의하면 글로벌 코봇 시장 규모는 2018년 6억6100만 달러로 2019년에서 2025년까지 44.5%의 연평균성장률(CAGR)을 보일 것으로 조사됐으며, 해당 보고서에서 주목하는 코봇 시장 성장 요인과 미국 코봇 시장 전망은 다음과 같다.
글로벌 코봇 시장 성장요인
연번 성장요인 1 중소기업 채택 증가 2 제조 프로세스 자동화의 가속화 및 이에 대한 투자 증가 3 스마트 부품 조립 및 전자 제품 조립 분야의 이용 증가 4 높은 페이로드(payload) 용량을 요구하는 작업에 대한 수요 증가 5 센서, 소프트웨어 및 EOAT(End of Arm Tooling)과 같은 관련 기술의 발전
자료: Grand View Research
미국 코봇 시장 전망
자료: Grand View Research
상기와 같이 페이로드 용량을 기준으로 코봇 시장 전망을 구분해 볼 수 있는 바 특히 10kg 페이로드 용량을 초과하는 코봇은 정밀성과 신뢰성이 높기 때문에 시장 전망이 밝으며, 예측 기간 동안 46.2%의 연평균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됐다.
미국의 주요 코봇 생산업체는 rethink robotics, precise automation, aubo 등이 있으며 해당 업체들이 개발해 출시한 코봇은 미국 내 제조업 활성화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미국의 주요 코봇 생산업체와 업체별 기술개발현황
업체명 현황 Rethink Robotics • 미국에서 코봇 최초 개발 • Sawyer, Baxter 등 출시 • 사람이 자유롭게 로봇 관절을 조작해 원하는 자세로 쉽게 프로그래밍 Precise 0ptmation • 간단한 구조의 코봇 제작 • 작업자의 안전 확보하기 위한 충돌센서, 직접 교시 기능 보유 • 생명공학연구를 지원하도록 설계된 Sample Handler 등 출시 Aubo Robotics • 6축, 3, 5, 7, 10kg의 페이로드를 갖춘 경량 산업용 로봇 • 프로그래밍 기술 없이 데모로 로봇을 빠르고 쉽게 프로그래밍 가능 • 안전펜스, 레이저 또는 센서없이 작업자와 나란히 작동
자료: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미국, 차세대 로봇 기술 개발 동향”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제조 산업 영역에서 기존의 생산기지의 글로벌화가 크게 타격을 입으면서 기업이 위치한 지역 내지 자국 중심으로 밸류 체인(Value Chain)이 강화되는 추세이다. 이렇게 되면 제조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생산 인력은 감소하므로 기업들은 생산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로봇 도입을 고려하게 된다. 코로나19가 로봇 수요의 증가와 도입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조 현장의 인력 투입을 줄이고 전염 위험도를 낮출 수 있는 코봇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것이다.
물류 로봇
물류 로봇은 서비스 로봇 중 하나로 사물인터넷 기술, 자율주행기술, 인공지능기술의 융합을 통해 물류 효율 향상을 목적으로 물류센터,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로봇 시스템으로 물품의 포장·분류·적재 및 이송과정에 주로 활용되는 로봇을 의미한다. 미국에서는 구글, 아마존, DHL 등 글로벌 기업들이 물류 혁신을 위한 로봇 기술을 도입하고 있으며, 물류 효율이 각국의 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등 물류 산업이 미래 핵심 산업으로 등장하고 있어 서비스 로봇 분야 중에서도 가장 유망하고 성장잠재력이 높은 분야이다.
시장조사기관인 Research and Market에 의하면 글로벌 물류 로봇 시장은 2018년에 4조3562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2019~2027년에 19.1%의 CAGR로 성장해 2027년에 20조2293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북미 시장은 2018년 글로벌 물류 로봇 시장에서 아시아-태평양 시장에 이어 2위를 차지했으나 2019~2027의 예측 기간 동안 가장 높은 시장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관측됐다.
물류 로봇은 1) 물류센터·공장에서 사용되는 물류 로봇, 2) 병원·요양원·호텔 등 대형건물에서 사용되는 물류 로봇, 3) 최종 소비자에게 상품을 전달하는 라스트 마일 배송 로봇으로 세분화할 수 있으며 각 세분화된 카테고리별 미국의 주요 물류 로봇 생산업체는 다음과 같다.
미국의 주요 물류 로봇 생산업체와 업체별 기술개발현황
카테고리 업체명 현황 물류센터 및 공장에서 사용되는 물류 로봇 Amazon Robotics • 물류센터에서 주로 운영 중이며, 물류 비용의 80% 절감 • 물건 처리 시간이 90분에서 15분으로 단축 • 인간-로봇 협업 및 다중로봇 최적 스케줄링 • 로봇시스템을 단순화하고 로봇의 도입과 유지비용을 낮춰 수만 대의 로봇 운용 가능 • Prime Air (드론배송) 등의 다양한 형태의 배송로봇 개발 중 6RS (6 River Systems) • 물류 창고 로봇 Chuck 개발, 높이 조정 가능 • 터치 스크린 탑재해 적재할 물품 이미지, 개수, 작업자 이동 방향 등을 표시 가능 Seegrid • 2D vision 기술을 바탕으로 창고 내 무인자율주행 지게차 Tow 개발한 스타트업 • 레이저, 와이어 가이드, 자기테이프 없이 비전가이드 센서가 장착된 AGV가 스스로 주위환경을 파악하고 가상격자를 매핑함으로써 자율주행 Fetch Robotics • 피킹로봇 Fetch, 이송로봇 Freight, 로봇 관리용 소프트웨어 Fetchcore 개발 • 주문 접수 시 Fetch와 Freight가 창고에서 해당 물건을 바구니에 넣어 포장대까지 운반 Right Hand Robotics • 하버드, 예일, MIT 연구자들이 공동 개발 • 사람과 비슷한 수준의 시간당 500~600개의 아이템을 잡을 수 있는 Right Pick 기술 개발 • 플라스틱으로 포장된 물건, 부분적으로 다른 물건에 가려진 물건을 인식하는 기술 개발 대형 건물에서 사용되는 물류 로봇 AETHON • 병원에서 의약품, 검체, 식사, 린넨(옷감) 등의 배송을 주목적으로 하는 로봇 TUG 개발 • 최대 450kg, 10시간 동작 • 자동문 연동,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층 간 이동 가능 Savioke • 호텔 등에서 스낵, 타월 등 각종 서비스 용품을 배달하는 로봇 Relay 개발 최종 소비자에게 상품을 전달하는 라스트 마일 배송 로봇 Starship Technologies • 보행로를 따라 이동하는 실외 배송 로봇 • LiDAR를 적용하지 않고 5대의 카메라, GPS, 관성센서, 인공 지능기술을 적용해 신호인지, 보행자 인지 등을 통해 자율주행 Marble Robotics • 3차원 정밀지도와 3차원 LiDAR를 적용해 복잡한 도심 환경에 적용가능하고 높은 안정성을 가진 배달로봇 개발 Agility Robotics • 이족보행이 가능한 휴머노이드형 배달로봇 개발 •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장애물이 있는 복잡한 지형을 배송물품을 들고 걸어다닐 수 있음.
자료: KEIT “물류 로봇 기술동향 및 향후 전망”,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미국, 차세대 로봇 기술 개발 동향”
아마존과 같은 전자 상거래 및 소매업체는 물류가 전체 공급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물류 로봇의 역할은 더욱 확대되고 중요해질 전망이다. 또한 병원에서는 코로나19 감염위험이 큰 검체 폐기물과 식사의 운반을 로봇이 대신할 경우 전염의 위험성을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최종 소비자에게 상품이 전달되는 단계에서 역시 비접촉식 배송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는바 물류 로봇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비스 로봇
차세대 서비스 로봇은 외부 환경을 인식하고 스스로 상황을 판단해 자율적으로 동작하고 반응해 의료, 실버, 헬스케어, 재난, 농업,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개인 맞춤형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노령인구증가에 따른 각종 사회문제가 대두되는 현대인의 일상 속에서도 별로 주목받지 못하던 서비스 로봇이 코로나19의 확산이 불러온 공공보건 위기 속에서 사람들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는 솔루션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 조사 기업인 Market and Market이 2019년에 발표한 서비스 로봇의 세계시장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서비스 로봇 시장은 2018년에 114억8000만 달러(약 13조6400억 원)에 달하며 예측 기간인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약 25.34%의 연평균성장률로 2024년에는 시장규모가 509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수술 로봇, 화상 진료 로봇, 항공 기내 청소 로봇, 간병 로봇, 서빙 로봇 등의 서비스 로봇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주요 서비스 로봇 생산업체는 다음과 같다.
미국의 서비스 로봇 생산업체 및 기술개발현황
업체명 현황 Boston Dynamics • 4족 보행로봇 SPOT 출시 • 공사장 업무용으로 활용되는 SPOT에 대형 태블릿을 장착해 원격의료플랫폼으로 활용 • 메사추세츠 브리검여성병원에 시범적으로 투입돼 화상문진 수행 • 향후 원격진단검사, 소독 등 서비스 영역 확대할 예정 Dimer UVC Innovations • 항공기 소독 로봇 GermFalcon 개발 • LA, SF, 뉴욕 국제공항에 소독 로봇 무상 제공 • 자외선(UVC) 이용해 기내 객실, 조리실, 승무원 탑승 공간 소독 INF Robotics • 간병용 로봇 Rudy 개발 CAPSA Healthcare • 약 조제용 로봇 Kirby lester robot 개발 Luvozo • 요양시설이나 노인복지시설에서 사용되는 서비스 로봇 Sam 개발 • 자율주행기능, 텔레프레전스 기능 갖추어 노인들을 대상으로 건강이상유무 확인 및 일상 생활에 대한 상담 가능
자료: 언론 보도 자료 종합
전문가들은 의료 서비스 로봇의 경우 우리나라의 세계적인 임상능력을 활용한다면 유망 품목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고 간병 로봇과 같은 소셜 로봇의 경우도 우리나라가 확보하고 있는 IT 핵심역량을 잘 활용한다면 글로벌 경쟁력 확보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코로나19로 대두되고 있는 각종 사회문제를 서비스 로봇이 해결하면서 서비스 로봇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증가하고 서비스 로봇을 통해 기업 입장에서는 생산성 향상을, 개인은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사점
기존의 로봇과 차별화되는 상황판단기능과 자율동작기능이 추가돼 사람과 협력하는 차세대 로봇인 코봇, 물류 로봇, 서비스 로봇은 코로나19로 인해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각 산업 현장 내지 민간 부분에서 새롭게 발굴되는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바 전문가들은 향후 더욱 많은 기업이나 조직들이 차세대 로봇 기술을 채택할 것이라고 보고있다. 코로나19 이후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사회·경제의 디지털화와 맞물려 차세대 로봇 기술 및 해당 시장 역시 코로나19가 성장 견인차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미래 산업 기술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차세대 로봇 기술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는 바 이와 관련된 우리 기업들은 핵심부품 및 소재기술을 확보하고 표준 및 인증을 지원하는 민관 협력체계를 구성하는 등 건강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물류, 서비스 분야에 해당되는 기업의 경우 필요한 로봇을 적재적소에 적극적으로 도입하거나 현장에서 획득한 노하우를 가지고 기술개발 및 사업화를 추진해 차세대 로봇 산업의 성장을 돕고, 경쟁력을 확보할 수도 있겠다.
자료: Grand View Research, 한국 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자료 종합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4 차 산업 혁명 로봇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의 본질,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4차 산업혁명 기술 종류, 4차 산업혁명 \공학,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 8가지, 4차 산업혁명 유래, 4차 산업혁명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