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조부모 지방 쓰는 법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Toplist.aseanseafoodexpo.com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조부모 지방 쓰는 법 지방쓰는법 한글, 증조부모 지방, 고조부모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妣)’, 조부모는 ‘조고(祖考)’, ‘조비(祖妣)’, 증조부모는 ‘증조고(曾祖考)’, ‘증조비(曾祖妣)’라 하여 앞에 현(顯)을 써서 ‘顯考(현고), 顯妣(현비), 顯祖考(현조고), 顯祖妣(현조비), 顯曾祖考(현증조고), 顯曾祖妣(현증조비)’라고 …
Table of Contents
늘곁애라이프온
- Article author: www.aidclub.com
- Reviews from users: 33049
Ratings
- Top rated: 4.9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늘곁애라이프온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늘곁애라이프온 Updating 대한민국1호 상조, 상조회사추천, 장례, 결혼, 어학연수, 크루즈, 여행, 선택형다이렉트보험, 온라인상담
- Table of Contents:

지방쓰는법 설 추석 명절 부모 조부모 차례 제사 한자 한글 hwp 양식 파일
- Article author: darkening.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34484
Ratings
- Top rated: 4.8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지방쓰는법 설 추석 명절 부모 조부모 차례 제사 한자 한글 hwp 양식 파일 우리 민족의 고유 대명사인 설이 다가오며 차례에 대한 준비를 하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아무래도 지방쓰는법일 듯합니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지방쓰는법 설 추석 명절 부모 조부모 차례 제사 한자 한글 hwp 양식 파일 우리 민족의 고유 대명사인 설이 다가오며 차례에 대한 준비를 하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아무래도 지방쓰는법일 듯합니다. 우리 민족의 고유 대명사인 설이 다가오며 차례에 대한 준비를 하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아무래도 지방쓰는법일 듯합니다. 코로나로 인해 가족이 많이 못모여 각자 차례를 지내는 사람이 많아지며 설 추석 명절..이슈피드 세상 모든 이슈는 여기로!
- Table of Contents:
지방쓰는법 설 추석 명절 부모 조부모 차례 제사 한자 한글 hwp 양식 파일
◎ 지방 뜻 신주 = 위패 ≒ 지방
◎ 지방 재료 규격
◎ 지방쓰는 법 ‘고인과 제주의 관계가 핵심’ 좌=남자 우 = 여자
◎ 지방쓰는법 예시

지방 쓰는법(+양식, 부모부터 증조부모까지)
- Article author: taktak2.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37659
Ratings
- Top rated: 3.8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지방 쓰는법(+양식, 부모부터 증조부모까지) 조부모를 모실때 지방쓰는 방법으로는 할아버지의 경우 ‘현증조고학생부군신위’ 라고 작성하시면 되고 할머니의 경우 ‘현증조비유인****신위’라고 작성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지방 쓰는법(+양식, 부모부터 증조부모까지) 조부모를 모실때 지방쓰는 방법으로는 할아버지의 경우 ‘현증조고학생부군신위’ 라고 작성하시면 되고 할머니의 경우 ‘현증조비유인****신위’라고 작성 … 지방 쓰는법(+양식, 부모부터 증조부모까지) 직장인탁탁2입니다😊 설명절을 맞이해서 제사를 지낼때 지방을 사용하곤 하는데 어떻게 쓰는지 잘 몰라서 어렵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을 겁니다. 해당 양식을 올려두었..
- Table of Contents:
제사 지방이란
부모 지방쓰는법
남편 아내 지방쓰는법
조부모 지방쓰는법
증조부모 지방쓰는법
티스토리툴바

제례정보《장례정보 | 온새미로 상조
- Article author: onsae.kr
- Reviews from users: 15774
Ratings
- Top rated: 3.9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제례정보《장례정보 | 온새미로 상조 이때 오른쪽에 어머니의 신위를 쓰고 왼쪽에 아버지의 신위를 쓴다.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의 지방 쓰는 법.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제례정보《장례정보 | 온새미로 상조 이때 오른쪽에 어머니의 신위를 쓰고 왼쪽에 아버지의 신위를 쓴다.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의 지방 쓰는 법. 100% 국산 제조 장의 용품을 사용하는 후불식 장례토탈서비스100% 국산 제조 장의 용품을 사용하는 후불식 장례토탈서비스
- Table of Contents:

지방쓰는법(아버지, 어머니, 할아버지, 할머니, 남편, 아내 등) 지방 다운로드 받기 – PRESS.pe.kr
- Article author: press.pe.kr
- Reviews from users: 22617
Ratings
- Top rated: 4.9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지방쓰는법(아버지, 어머니, 할아버지, 할머니, 남편, 아내 등) 지방 다운로드 받기 – PRESS.pe.kr 부모 지방쓰는법입니다. 조부모 지방쓰는법(첨부 파일 할머니 성씨만 수정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지방쓰는법(아버지, 어머니, 할아버지, 할머니, 남편, 아내 등) 지방 다운로드 받기 – PRESS.pe.kr 부모 지방쓰는법입니다. 조부모 지방쓰는법(첨부 파일 할머니 성씨만 수정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자를 많이 쓰지 않는 요즘 지방쓰는법은 매우 어렵습니다. 위에 지방을 한글파일로 첨부하니 상황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사이즈는 지방사이즈(6㎝×22㎝) 입니다. 한번만 만들어 놓으면 따로 수..인터넷판,모바일판,편의점판,쇼핑몰판,연예계판,블로그판,애드센스판
- Table of Contents:
지방 쓰는 방법(아버지/어머니/할아버지/할머니/증조할아버지/증조할머니 외 가족별 지방 쓰는 방법) :: 꽃잠
- Article author: ggotjam1004.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30616
Ratings
- Top rated: 3.4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지방 쓰는 방법(아버지/어머니/할아버지/할머니/증조할아버지/증조할머니 외 가족별 지방 쓰는 방법) :: 꽃잠 설, 추석, 제사 때 쓰이는 ‘지방’ 쓰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 예) 고조부모/증조부모/조부모/부모 등 … 이미지 출처 : 다음 DAUM 지방쓰는법.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지방 쓰는 방법(아버지/어머니/할아버지/할머니/증조할아버지/증조할머니 외 가족별 지방 쓰는 방법) :: 꽃잠 설, 추석, 제사 때 쓰이는 ‘지방’ 쓰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 예) 고조부모/증조부모/조부모/부모 등 … 이미지 출처 : 다음 DAUM 지방쓰는법. 안녕하세요 꽃잠입니다. 설, 추석, 제사 때 쓰이는 ‘지방’ 쓰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오늘은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관계에 따라 작성 내용이 달라지는 지방을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지방 어떻게 써야..아름답고 영원히 기억될 깊은 잠, 꽃잠은 ‘고인과 가족의 마음을 살피는 따뜻한 장례식’을 추구합니다. www.ggotjam.com
- Table of Contents:
TAG
관련글 관련글 더보기
인기포스트
제사 지방 쓰는 법 (부모, 아버지, 어머니, 남편, 아내, 자식 등)
- Article author: 0muwon.com
- Reviews from users: 31811
Ratings
- Top rated: 4.5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제사 지방 쓰는 법 (부모, 아버지, 어머니, 남편, 아내, 자식 등) 지방에는 고인과 제사를 지내는 사람의 관계를 적고, 고인의 직위, 고위의 이름 그리고 마지막에 신위라고 적습니다. 따라서, 지방을 쓰는 법은 대상자가 누구냐에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제사 지방 쓰는 법 (부모, 아버지, 어머니, 남편, 아내, 자식 등) 지방에는 고인과 제사를 지내는 사람의 관계를 적고, 고인의 직위, 고위의 이름 그리고 마지막에 신위라고 적습니다. 따라서, 지방을 쓰는 법은 대상자가 누구냐에 … 지방은 명절이나 제사를 지낼 때 제사를 지내는 대상자를 상징합니다. 신주 등을 사용하여야 하나, 요새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신주 대신 종이로 써서 대신 하는데요. 이것을 지방이라고 합니다…
- Table of Contents:
네비게이션
제사 지방 쓰는 법 (부모 아버지 어머니 남편 아내 자식 등)
사이드바
검색
티스토리툴바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22+ tips for you.
예전에는 집집마다 조상의 위패(位牌), 즉 신주(神主)를 모신 사당이 있었다. 사당은 조선시대 양반층이 먼저 만들기 시작해서 조선 후기가 되면 각계각층으로 일반화되었다. 가난한 사람들도 집안 한쪽에 간단하게나마 조상의 위패를 모신 자리를 마련하였다. 제사를 지낼 때는 이 위패를 모셔다 지냈다. 그런데, 오늘날은 일반적으로 가정에 사당도 없고 조상의 위패도 없다. 그러니 제사 등을 지낼 때 형편상 임시로 종이에 글을 적어 임시로 위패를 대신 삼는 것이 바로 지방이다.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의 지방 쓰는 법
지방에는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제주, 祭主)의 관계를 적고, 고인의 직위를 적고, 고인의 이름을 적고, 마지막에 신위라고 적는다. 각각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고인과 제주의 관계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妣)’, 조부모는 ‘조고(祖考)’, ‘조비(祖妣)’, 증조부모는 ‘증조고(曾祖考)’, ‘증조비(曾祖妣)’라 하여 앞에 현(顯)을 써서 ‘顯考(현고), 顯妣(현비), 顯祖考(현조고), 顯祖妣(현조비), 顯曾祖考(현증조고), 顯曾祖妣(현증조비)’라고 쓴다. 남편은 顯辟(현벽)이라고 쓰며, 아내는 ‘顯(현)’을 쓰지 않고 亡室(망실) 또는 故室(고실)이라 쓴다. 형은 顯兄(현형), 형수는 顯兄嫂(현형수), 동생은 亡弟(망제), 또는 故弟(고제), 자식은 亡子(망자), 또는 故子(고자)라고 쓴다.
2. 고인의 직위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妣)’, 조부모는 ‘조고(祖考)’, ‘조비(祖妣)’, 증조부모는 ‘증조고(曾祖考)’, ‘증조비(曾祖妣)’라 하여 앞에 현(顯)을 써서 ‘顯考(현고), 顯妣(현비), 顯祖考(현조고), 顯祖妣(현조비), 顯曾祖考(현증조고), 顯曾祖妣(현증조비)’라고 쓴다. 남편은 顯辟(현벽)이라고 쓰며, 아내는 ‘顯(현)’을 쓰지 않고 亡室(망실) 또는 故室(고실)이라 쓴다. 형은 顯兄(현형), 형수는 顯兄嫂(현형수), 동생은 亡弟(망제), 또는 故弟(고제), 자식은 亡子(망자), 또는 故子(고자)라고 쓴다.
3. 고인의 이름
남자 조상의 경우 모두 ‘府君(부군)’이라고 쓰며, 여자조상이나 아내는 본관과 성씨(사례에서는 ‘김해 김씨’)를 쓴다. 자식이나 동생의 경우 이름(사례에서는 ‘길동’)을 쓴다.
다양화된 현대 사회에서는 공직이 아니더라도 사회적으로 지위를 얻는 경우도 있고, 반대로 여자가 공직을 지낸 경우도 흔하다. 예를 들어 밀양 박씨 여자가 서기관을 지낸 경우 현대 사회상에 맞추어 직위에 ‘서기관’이라고 쓸 수도 있을 것이다.
지방쓰는법 설 추석 명절 부모 조부모 차례 제사 한자 한글 hwp 양식 파일
반응형
728×170
우리 민족의 고유 대명사인 설이 다가오며 차례에 대한 준비를 하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아무래도 지방쓰는법일 듯합니다.
코로나로 인해 가족이 많이 못모여 각자 차례를 지내는 사람이 많아지며 설 추석 명절에 차례상에 올릴 지방쓰는법을 급하게 찾기도 하는데요.
지방쓰는법은 ‘4가지’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전혀 어렵지 않은데요. 아래 4가지 조합만 확인하시면 쉽게 지방을 쓰실 수 있습니다. 지방의 뜻과 쓰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지방 뜻 신주 = 위패 ≒ 지방
제사와 차례를 지내며 없어서는 안 될 지방인데요. 지방은 설 추석 제사에서 항상 접하면서도 잘 모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방(紙榜)은 신주(神主) 대신 쓰는 것으로 신주와 동일한 단어로 위패(位牌)가 있습니다. ‘죽은 사람의 영혼을 모시는 나무패’라는 뜻인데요.
옛날엔 집마다 조상의 신주(위패)를 모시는 사당이 있었으며 평소에는 이렇게 사당에 뒀다가 제사나 차례를 지낼 때 신주(위패)를 제사상이나 차례상에 모셨습니다.
시대가 변하며 현대에 사당을 둔 집은 찾기 힘들어졌고 신주(위패) 역시 보기 어려워졌는데, 제사나 차례는 여전히 많이 지내므로 이때 신주(위패) 대신 활용하는 게 바로 종이에 글을 적은 지방입니다.
◎ 지방 재료 규격
지방은 창호지를 신주 크기로 자르면 되는데요. 창호지가 없으면 한지 백지를 사용해도 됩니다. 보통 가로 6cm, 세로 22cm 정도로 차례상에 올릴 지방틀 크기에 맞추면 됩니다.
지방은 펜으로 종이에 직접 써도 되지만 어려울 시에는 한글, 워드 등으로 작성하여 프린트를 해서 쓰셔도 됩니다.
◎ 지방쓰는 법 ‘고인과 제주의 관계가 핵심’ 좌=남자, 우 = 여자
1. 고인과 제주의 관계
2. 고인의 직위
3. 고인의 이름
4. 신위(神位)
제주는 제사를 모시는 사람이며 1~4를 조합하는 것으로 나머지 3개와 달리 4는 무조건 신위라고 적으면 됩니다.
고위(아버지 등 남자 조상)는 좌측에, 비위(어머니 등 남자 조상의 아내)는 우측에 쓰며 한분만 돌아가신 경우에는 중앙에 쓰면 됩니다.
다음과 같이 1~4까지 자세한 설명을 보시면 지방쓰는법 어렵지 않습니다.
① 고인과 제주의 관계
부(아버지): 顯考(현고)
모(어머니): 顯妣(현비)
조부(할아버지): 顯祖考(현조고)
조모(할머니): 顯祖妣(현조비)
증조부(증조할아버지): 顯曾祖考(현증조고)
증조모(증조할머니): 顯曾祖妣(현증조비)
고조부(고조할아버지): 顯高祖考(현고조고)
고조모(고조할머니): 顯高祖妣(현고조비)
남편: 顯辟(현벽)
아내: 亡室(망실) 또는 故室(고실)
형: 顯兄(현형)
형수: 顯兄嫂(현형수)
동생: 亡弟(망제) 또는 故弟(고제)
자식: 亡子(망자) 또는 故子(고자)
② 고인의 직위
벼슬을 한 남자 조상: 벼슬명
벼슬을 하지 않은 남자 조상: 學生(학생)
여자 조상은 남편 벼슬 급에 따라 나라로부터 부여받은 호칭: 貞敬夫人(정경부인), 貞夫人(정부인), 淑夫人(숙부인)
벼슬을 하지 않는 남자 조상의 부인: 孺人(유인)
고인이 공무원을 지냈다면 이사관, 부이사관, 서기관 등의 직위를 쓰면 되며 지방을 쓸 때 재량이 가장 많이 허용되는 부분으로 응용하기 나름입니다.
③ 고인의 이름
고인의 이름을 쓸 때에는 남자 조상의 경우 실제 이름을 쓰지 않고 모두 府君(부군)이라고 써 두면 됩니다.
여자 조상의 경우 본관과 성씨까지만 쓰는데요. 성은 아는데 본관은 아리송할 수 있으니 미리 알아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동생이나 자식의 경우 성을 제외한 이름을 쓰면 됩니다.
④ 마지막 무조건 신위(神位)라는 두 글자.
할아버지,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 모두 마지막에는 신위 두 글자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 지방쓰는법 예시
돌아가신 아버지 지방 예시
가령 돌아가신 아버지 차례를 지낸다면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라고 쓰면 되는데요. ‘현고’ ‘학생’ ‘부군’ ‘신위’ 이렇게 4개 파트를 조합하면 됩니다.
한자어 음 그대로 한글로 쓰거나, 우리말로 풀어 ‘아버님 신위’라고 짧게 써도 됩니다.
돌아가신 어머니 지방 예시
돌아가신 어머니께서 김해 김씨라면 ‘현비유인김해김씨신위'(顯妣孺人金海金氏神位)라고 적으면 되며 한자로 쓴다면 ‘현비’ ‘유인’ ‘신위’는 위에 있으며 ‘김해김씨’만 검색해 보시고 쓰면 됩니다.
어머니도 한자어 음 그대로 한글로 쓰거나, 우리말로 풀어 ‘어머님 신위’라고 짧게 써도 됩니다.
참고로 직위를 쓸 때 ‘학생'(남자 조상)과 ‘유인'(여자 조상)이 가장 많이 쓰이니 지방쓰는법에서 꼭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지방쓰는법 설 추석 명절 부모 조부모 차례 제사 한자 한글 hwp 양식 파일 (1).hwp 0.02MB 지방쓰는법 설 추석 명절 부모 조부모 차례 제사 한자 한글 hwp 양식 파일 (2).hwp 0.03MB
지방쓰는법 파일을 다운로드하셔서 차례 제사에 맞게 수정하셔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반응형
그리드형
지방 쓰는법(+양식, 부모부터 증조부모까지)
지방 쓰는법(+양식, 부모부터 증조부모까지)
직장인탁탁2입니다😊 설명절을 맞이해서 제사를 지낼때 지방을 사용하곤 하는데 어떻게 쓰는지 잘 몰라서 어렵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을 겁니다. 해당 양식을 올려두었으니 다운받으셔서 쉽게 지방 쓰실 수 있도록 해봤습니다. 해당 양식은 글 아래를 참고 해주시길 바랍니다
설명절 지방 쓰는법
제사 지방이란?
지방이란 돌아가신 분의 이름과 날짜를 적은 신주를 모시고 있지 않은 집안에서 제사 때 조상을 모시기 위해 종이에 쓴 것을 지방이라고 합니다.
주로 제사에 사용되는 지방은 폭 5~6cm, 20~22cm 정도의 종이에 관계에 맞게 한자로 작성하는데 요즘에 들어서 한글로 작성하는 경우도 많다고 하니 힘들게 한자로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부모 지방쓰는법
부모님 지방 쓰는 경우에는 만약 둘다 돌아가셔서 지방 한장에 두분을 작성해야 한다면 아버지를 왼쪽 어머니를 오른쪽에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아버지는 ‘현고학생부군신위’라고 작성해주시면 되고 어머니는 ‘현비유인****신위’ 라고 작성해주시면 되는데 ****부분은 어머니 본관 성씨를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남편, 아내 지방쓰는법
남편, 아내 지방쓰는 방법으로는 남편은 ‘현벽학생부군신위’, 아내는 ‘고실유인****신위’라고 작성을 해주시면 되는데 ****부분은 여성은 본관 성씨를 작성하게 되니 유동적으로 작성해주시면됩니다.
조부모 지방쓰는법
조부모를 모실때 지방쓰는 방법으로는 할아버지의 경우 ‘현증조고학생부군신위’ 라고 작성하시면 되고 할머니의 경우 ‘현증조비유인****신위’라고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빨간 글씨부분은 본관과 성씨를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증조부모 지방쓰는법
증조부모의 경우 증조할아버지는 ‘현증조고학생부군신위’ 라고 작성해주시면 되고 증조할머니의 경우에는 ‘현증조비유인****신위’라고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빨간글씨 부분은 본관 성씨를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지방쓰는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지방양식은 아래에 첨부해 두었으니 편하게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해주세요
지방쓰는 법.hwp 0.05MB
다른 글도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명절음식 성향 테스트(+링크, FBTI타입)
진도군 재난지원금 신청방법!
거창군 재난지원금 신청방법!
광주 재난지원금 신청방법!
루테인 지아잔틴 추천 해외직구로 저렴하게 구매!
😊해당포스팅이 되움이 되셨다면😊
👩이번글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공유해보시면 어떨까요?
🙏공유받은 사람은 당신에게
고마움을 느낄것입니다
반응형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조부모 지방 쓰는 법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지방쓰는법 한글, 증조부모 지방, 고조부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