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38 생분해 성 플라스틱 단점 8144 People Liked This Answer

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생분해 성 플라스틱 단점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Toplist.aseanseafoodexpo.com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생분해 성 플라스틱 단점 생분해성 플라스틱 한계, 생분해성 플라스틱 상용화, 바이오 플라스틱 단점, 생분해성 플라스틱 종류, 바이오플라스틱 전망, 생분해성 플라스틱 가격, 생분해성 플라스틱 이용 사례, 생분해성 플라스틱 분리수거

이전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단점으로 지적되어 온 (1) 내열성, 가공성, 내충 격성 등 물성 약화, (2) 가격 경쟁력 확보, (3) 가공기술 개발, 응용분야 확대 지연, (4) 너무 짧은 생분해 기간에 의한 유통중 클레임 가능성 을 극복하고 탄소 중립(Carbon neutral) 측면 …


생분해성 플라스틱이지만 그냥 소각?…어쩌다 외면받게 됐을까
생분해성 플라스틱이지만 그냥 소각?…어쩌다 외면받게 됐을까


생분해 성 플라스틱 단점

  • Article author: www.koreascience.or.kr
  • Reviews from users: 25898 ⭐ Ratings
  • Top rated: 3.7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생분해 성 플라스틱 단점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생분해 성 플라스틱 단점 Updating
  • Table of Contents:
생분해 성 플라스틱 단점
생분해 성 플라스틱 단점

Read More

생분해 플라스틱 정말 친환경적? “생각만큼 분해 잘 안되네” – 조선비즈

  • Article author: biz.chosun.com
  • Reviews from users: 24788 ⭐ Ratings
  • Top rated: 3.8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생분해 플라스틱 정말 친환경적? “생각만큼 분해 잘 안되네” – 조선비즈 이 때문에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이 생분해 플라스틱이다. 옥수수 전분과 같은 생물성 원료나 석유화학 제품 중 생분해가 가능한 PBAT(폴리부틸렌 아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생분해 플라스틱 정말 친환경적? “생각만큼 분해 잘 안되네” – 조선비즈 이 때문에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이 생분해 플라스틱이다. 옥수수 전분과 같은 생물성 원료나 석유화학 제품 중 생분해가 가능한 PBAT(폴리부틸렌 아 … 생분해 플라스틱 정말 친환경적 생각만큼 분해 잘 안되네 기대만큼 잘 분해되지 않고 생산 과정에서 환경 파괴 심해 지적 잇따라 생분해 플라스틱이 주목받으면서 국내 기업들도 소재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그런데 생분해 플라스틱이 정말 친환경적인지를 놓고 논란이 커지고 ..
  • Table of Contents:
생분해 플라스틱 정말 친환경적? “생각만큼 분해 잘 안되네” - 조선비즈
생분해 플라스틱 정말 친환경적? “생각만큼 분해 잘 안되네” – 조선비즈

Read More

생분해 플라스틱, 썩는데 걸리는 시간은? : 네이버 포스트

  • Article author: m.post.naver.com
  • Reviews from users: 16579 ⭐ Ratings
  • Top rated: 4.1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생분해 플라스틱, 썩는데 걸리는 시간은? : 네이버 포스트 바이오플라스틱은 크게 100% 자연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 플라스틱인 것 같지만, 실제 생분해되는데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단점이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생분해 플라스틱, 썩는데 걸리는 시간은? : 네이버 포스트 바이오플라스틱은 크게 100% 자연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 플라스틱인 것 같지만, 실제 생분해되는데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단점이 …
  • Table of Contents:
생분해 플라스틱, 썩는데 걸리는 시간은? : 네이버 포스트
생분해 플라스틱, 썩는데 걸리는 시간은? : 네이버 포스트

Read More

‘친환경 대안’ ‘또다른 쓰레기’ 어디에 가까울까…생분해 플라스틱의 진실 | 중앙일보

  • Article author: www.joongang.co.kr
  • Reviews from users: 4603 ⭐ Ratings
  • Top rated: 3.6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친환경 대안’ ‘또다른 쓰레기’ 어디에 가까울까…생분해 플라스틱의 진실 | 중앙일보 SK케미칼도 고유연 생분해성 PLA 플라스틱의 상업 생산을 준비하고 있다. 기업들은 정부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생분해 플라스틱 지원에 나서길 바란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친환경 대안’ ‘또다른 쓰레기’ 어디에 가까울까…생분해 플라스틱의 진실 | 중앙일보 SK케미칼도 고유연 생분해성 PLA 플라스틱의 상업 생산을 준비하고 있다. 기업들은 정부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생분해 플라스틱 지원에 나서길 바란다. 이른바 친환경이 소비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일반 플라스틱 대신 바이오 플라스틱을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 일반 플라스틱, 생분해 플라스틱, 바이오 플라스틱 등이 공존하는 전환기를 잘 넘겨 탈(脫) 석유 플라스틱으로 갈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단기적으로 생분해 플라스틱은 어구, 농업용 비닐 등 쓰레기 투기가 잘 일어나는 영역에 우선 보급하는 반면, 재활용이 가능한 분야는 재활용되는 소재를 권장하는 쪽으로 가야 한다. –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 플라스틱,친환경 플라스틱,생분해 바이오,플라스틱 어스,바이오 플라스틱,생분해,폐기,퇴비,환경부,정부,기업,쓰레기,환경단체,녹색연합
  • Table of Contents:

중앙일보

1 파이썬

2 펠로시

3 서울아산병원간호사

4 현진영 아내

5 이준석 복귀

6 이루안

7 공매도

8 권석천의 시시각각

9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10 방재승

[단독]김종인 尹취임날 이준석에 미국서 사회과학 공부하라

김부선 딸 울린 낸시랭에 그러니 맞고 살지 이 X아…무슨일

현진영 아내가 강제로 3개월간 정신병원 입원시켰다…무슨일

아산병원 간호사 죽음 이유는… 실명 밝힌 의사 장문의 글

수상한 7조 ‘대북송금설’까지 나왔다…국정원도 내사 무슨 일 [Law談스페셜]

# 플라스틱

# 친환경

# 생분해 플라스틱

# 친환경 플라스틱

# 생분해 바이오

# 플라스틱 어스

# 바이오 플라스틱

# 생분해

# 폐기

# 퇴비

# 환경부

# 정부

# 기업

# 쓰레기

# 환경단체

# 녹색연합

아아·따아·아라·따라…커피 타입으로 본 나의 리더십 유형은

2022 올해의 시계를 만나다

위기의 화력발전소 수소・암모니아가 구원투수!

근로기준법 개정 후 사장님들 하소연

침대 회사가 왜 삼겹살 수세미를 팔지

로마를 담은 보석 이야기

'친환경 대안' '또다른 쓰레기' 어디에 가까울까…생분해 플라스틱의 진실 | 중앙일보
‘친환경 대안’ ‘또다른 쓰레기’ 어디에 가까울까…생분해 플라스틱의 진실 | 중앙일보

Read More

바이오 플라스틱, 장점과 단점을 알아볼까요?

  • Article author: skenergy.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13117 ⭐ Ratings
  • Top rated: 3.3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바이오 플라스틱, 장점과 단점을 알아볼까요? 우선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미생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친환경 플라스틱. 미생물이 생산하는 플라스틱으로 전분이나 셀룰로스 등 천연 소재를 이용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바이오 플라스틱, 장점과 단점을 알아볼까요? 우선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미생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친환경 플라스틱. 미생물이 생산하는 플라스틱으로 전분이나 셀룰로스 등 천연 소재를 이용 … 플라스틱은 현재 우리 세계에서 없어서는 안될 소재입니다. 사용량이 많은 만큼 플라스틱 또한 많이 버려져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그리고 플라스틱은 비싼 석유를 이용해서 만드는 제품이기 때문에 자..
  • Table of Contents:

태그

‘에너지 인사이드’ Related Articles

공지사항

최근 포스트

태그

검색

전체 방문자

티스토리툴바

바이오 플라스틱, 장점과 단점을 알아볼까요?
바이오 플라스틱, 장점과 단점을 알아볼까요?

Read More

[Planet Voice : Bio-plastic] “생분해 플라스틱 실패?” 오해와 진실 편:플래닛타임즈

  • Article author: www.planet-times.com
  • Reviews from users: 2102 ⭐ Ratings
  • Top rated: 4.1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Planet Voice : Bio-plastic] “생분해 플라스틱 실패?” 오해와 진실 편:플래닛타임즈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핵심은 ‘미생물 분해’다. 결국 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해야만 생분해가 진행된다는 뜻이다. 생분해 플라스틱 분해 문제 해결을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Planet Voice : Bio-plastic] “생분해 플라스틱 실패?” 오해와 진실 편:플래닛타임즈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핵심은 ‘미생물 분해’다. 결국 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해야만 생분해가 진행된다는 뜻이다. 생분해 플라스틱 분해 문제 해결을 … [Planet Voice : Bio-plastic] “생분해 플라스틱 실패?” 오해와 진실 편-플래닛타임즈
  • Table of Contents:
See also  Top 27 뱅크 오브 호프 Cd 29509 Votes This Answer

생분해 봉지 뜨거운 논쟁의 중심에 서다

생분해 봉지 뜨거운 논쟁의 중심에 서다

[Planet Voice : Bio-plastic] “생분해 플라스틱 실패?” 오해와 진실 편:플래닛타임즈
[Planet Voice : Bio-plastic] “생분해 플라스틱 실패?” 오해와 진실 편:플래닛타임즈

Read More

차세대 플라스틱으로 기대 받던 썩는 플라스틱, 왜 외면 받고 있나

  • Article author: renewableenergyfollowers.org
  • Reviews from users: 33720 ⭐ Ratings
  • Top rated: 4.1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차세대 플라스틱으로 기대 받던 썩는 플라스틱, 왜 외면 받고 있나 천연계 분해성 플라스틱은 내구성이 약해 음식을 담기에도 무리가 있다. 앞서 언급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문제점을 보면, 생분해 플라스틱과 기존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차세대 플라스틱으로 기대 받던 썩는 플라스틱, 왜 외면 받고 있나 천연계 분해성 플라스틱은 내구성이 약해 음식을 담기에도 무리가 있다. 앞서 언급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문제점을 보면, 생분해 플라스틱과 기존 … 차세대 플라스틱으로 기대 받던 썩는 플라스틱, 왜 외면 받고 있나 18기 이유나 코로나 19가 1년 가까이 장기화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는 우리의 일상이 되었다. 이로 인해 생각지 못했던 부작용이 나..
  • Table of Contents:

차세대 플라스틱으로 기대 받던 썩는 플라스틱 왜 외면 받고 있나

태그

관련글

댓글2

최근글

인기글

전체 방문자

태그

티스토리툴바

차세대 플라스틱으로 기대 받던 썩는 플라스틱, 왜 외면 받고 있나
차세대 플라스틱으로 기대 받던 썩는 플라스틱, 왜 외면 받고 있나

Read More

팩트체크넷 – 친환경 플라스틱은 환경을 지키기 위한 대안일까?

  • Article author: factchecker.or.kr
  • Reviews from users: 14676 ⭐ Ratings
  • Top rated: 4.0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팩트체크넷 – 친환경 플라스틱은 환경을 지키기 위한 대안일까? 생분해성 플라스틱,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 등 다양한 플라스틱 제품들이 분해가 되지 않는 기존 플라스틱의 대안인 것처럼 보도되거나 소개되고 있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팩트체크넷 – 친환경 플라스틱은 환경을 지키기 위한 대안일까? 생분해성 플라스틱,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 등 다양한 플라스틱 제품들이 분해가 되지 않는 기존 플라스틱의 대안인 것처럼 보도되거나 소개되고 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 등…팩트체크,factcheck,팩트체킹,팩트체커,뉴스,기사,언론보도,가짜뉴스,미디어리터러시,뉴스리터러시
  • Table of Contents:

국내 바이오 플라스틱 제품 폐기 및 처리 현황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팩트체크넷 - 친환경 플라스틱은 환경을 지키기 위한 대안일까?
팩트체크넷 – 친환경 플라스틱은 환경을 지키기 위한 대안일까?

Read More

팩트체크넷 – 친환경 플라스틱은 환경을 지키기 위한 대안일까?

  • Article author: www.sobilife.com
  • Reviews from users: 3369 ⭐ Ratings
  • Top rated: 4.1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팩트체크넷 – 친환경 플라스틱은 환경을 지키기 위한 대안일까?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바이오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바이오매스 함량이 50%를 상회하는 플라스틱으로 플라스틱과 유사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사용 후에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팩트체크넷 – 친환경 플라스틱은 환경을 지키기 위한 대안일까?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바이오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바이오매스 함량이 50%를 상회하는 플라스틱으로 플라스틱과 유사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사용 후에 … 생분해성 플라스틱,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 등…팩트체크,factcheck,팩트체킹,팩트체커,뉴스,기사,언론보도,가짜뉴스,미디어리터러시,뉴스리터러시
  • Table of Contents:

국내 바이오 플라스틱 제품 폐기 및 처리 현황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팩트체크넷 - 친환경 플라스틱은 환경을 지키기 위한 대안일까?
팩트체크넷 – 친환경 플라스틱은 환경을 지키기 위한 대안일까?

Read More

[포스트플라스틱④] 바이오 플라스틱은 플라스틱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 라이프인

  • Article author: www.lifein.news
  • Reviews from users: 3408 ⭐ Ratings
  • Top rated: 4.9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포스트플라스틱④] 바이오 플라스틱은 플라스틱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 라이프인 일반 플라스틱과 생분해성 플라스틱, 바이오기반 플라스틱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각자 장점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생분해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포스트플라스틱④] 바이오 플라스틱은 플라스틱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 라이프인 일반 플라스틱과 생분해성 플라스틱, 바이오기반 플라스틱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각자 장점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생분해 … 기후위기와 관련해 인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단연 우리 목전까지 위협당하고 있다고 느끼는 문제 중 하나가 플라스틱 쓰레기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냐는 것이다. 기적의 소재로 불리던 플라스틱은 왜 이렇게 미움을 사게 됐을까? 라이프인은 ‘쓰레기 박사’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의 연재 기고를 통해 플라스틱 문제를 바라보는 시간을 갖는다. [편집자 주] 플라스틱 문제가 커지는 만큼 바이오 플라스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고,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논란도 커지고 있다. 플라스틱 문제를 덮기 위한 기플라스틱,기후위기,바이오플라스틱,자원순환나에게 힘이 되는 언론 ‘라이프인’
  • Table of Contents:
[포스트플라스틱④] 바이오 플라스틱은 플라스틱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 라이프인
[포스트플라스틱④] 바이오 플라스틱은 플라스틱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 라이프인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Toplist.aseanseafoodexpo.com/blog.

‘친환경 대안’ ‘또다른 쓰레기’ 어디에 가까울까…생분해 플라스틱의 진실

서울에 사는 직장인 김모(35)씨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일회용품 사용이 급증했다는 기사를 접한 뒤 친환경 제품에 관심을 갖게 됐다. 올 들어 ‘생분해’나 ‘친환경’ 문구가 적힌 제품을 골라 쓰는 게 습관이 됐다. 비닐 봉투가 필요할 때도 검은색 일반 봉투 대신 생분해 제품을 들고 다니며 쓴다. 그는 “주변 친구들과 말해보면 친환경 플라스틱 제품을 일부러 쓴다는 경우가 예전보다 늘어난 거 같다”고 말했다.

이른바 친환경이 소비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일반 플라스틱 대신 바이오 플라스틱을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 상점이나 카페에서도 이들을 겨냥한 ‘친환경’ 비닐봉지나 음료 컵 등을 제공하곤 한다. 녹색연합이 지난해 10~11월 시민 137명에게 물었더니 70%가 생분해 플라스틱을 이용해본 적 있다고 밝혔다. 사용 경험은 비닐 포장재-식품 용기-컵 순서였다.

다만 이러한 제품은 막 기지개를 켜는 수준이다. 2019년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은 약 4만t 규모다. 전체 플라스틱 시장의 0.5%를 차지한다. 정보가 부족하다 보니 바이오나 생분해가 정확히 뭔지 모르고 쓰는 경우도 많다.

엄밀히 말해 바이오 플라스틱은 재생 가능한 원료로 제조하는 플라스틱 전반을 말한다. 바이오매스(식물이나 유기성 폐자원 등의 원료)에서 유래한 ‘바이오 기반’과 짧은 기간 미생물로 완전히 분해되는 ‘생분해’를 포함하는 상위 개념이다. 일상에서 흔히 쓰는 ‘친환경’ 플라스틱은 생분해 제품이 많은 편이다.

생분해 플라스틱은 천연물 계통인 PHA·PLA 등과 석유 계통인 PBAT·PCL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옥수수ㆍ사탕수수 등을 활용한 PLA 소재는 빨대와 칫솔 등 생활 제품에 흔히 쓰이는 편이다. 그러나 같은 생분해라도 탄생 과정은 완전히 다르다. 어떤 건 옥수수 같은 식물로 만들어진 반면, 석유 기반으로 제조한 것도 있다. 탄소 배출 저감, 미세 플라스틱 감축…. 이걸 썼을 때 지구의 어느 영역에 영향을 미칠지가 각각 다르다는 의미다.

하지만 일상에선 뭉뚱그려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부른다. 잘 썩는다고 생각해 폐기물 처리법도 크게 구분하지 않는다. 생분해 제품을 원칙대로 종량제 봉투에 넣어 버리면 대개는 분해 대신 소각 또는 매립된다. 반대로 일반 플라스틱처럼 분리 배출하면 다른 플라스틱 제품의 재활용을 방해한다. 바이오 플라스틱이 진정한 ‘친환경’이 되려면 분해 조건을 갖춘 시설 인프라, 올바른 분리수거 등이 전제돼야 하는 셈이다.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은 “많은 이들이 여전히 바이오ㆍ생분해 플라스틱의 관계를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단순히 ‘분해 되냐 안 되냐’, ‘썩냐 안 썩냐’ 같은 이분법적 함정에 빠지면 안 된다”고 말했다.

아직 갈 길은 멀다지만 국내 산업계는 생분해 플라스틱의 미래에 크게 주목하고 있다. 기존 플라스틱 제품의 환경 파괴적 측면이 뚜렷한 만큼 이를 대체할 친환경 소재가 대세가 될 거라고 본다. 기업들은 속속 생분해 플라스틱 개발에 뛰어들면서 해외 수출,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미생물을 활용해 최대 4년이면 분해되는 PHA 플라스틱을 시험 생산 중이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편이지만 성장 가능성이 많은 소재라고 강조한다. 빨대, 비닐 봉투, 포장재부터 시작해 자동차 내장재 등으로 사용처를 늘려간다는 구상이다. 올 연말까지 인도네시아에 PHA 전용 생산 라인을 완공한 뒤, 내년 초 본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PHA를 양산할 수 있는 회사가 우리를 포함해 일본, 미국 등 세 곳에 불과하다. 석유 플라스틱보다 원가가 비싸지만, 규모의 경제가 실현되고 연구개발이 진행되면 경쟁력은 훨씬 높아질 것으로 본다”면서 “세계 각국에서 석유 플라스틱에 대한 규제가 늘고 소비자의 친환경 경각심도 올라가면서 시장 전망을 밝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LG화학은 옥수수 성분 등을 활용한 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했다. 이를 상용화하면 투명 포장재 등 다양한 용도로 쓸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부터 시제품을 만들어 2025년부터는 본격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SK케미칼도 고유연 생분해성 PLA 플라스틱의 상업 생산을 준비하고 있다.

기업들은 정부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생분해 플라스틱 지원에 나서길 바란다. 업계 관계자는 “해외 시장 전망은 유망한데 국내에선 소비자 인식, 기업 움직임, 정책 변화 등이 전 세계 트렌드를 늦게 따라가는 느낌”이라면서 “글로벌 시장으로 나가려면 정부 부처 간 정책 공조가 잘 돼야 한다. 또한 정부가 적어도 생분해 수지 사용·폐기 가이드라인을 소비자에게 제공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반면 환경단체들은 생분해 플라스틱도 일종의 ‘그린 워싱'(친환경적이지 않은데 친환경적인 것처럼 홍보하는 행태)이라며 평가 절하한다. 환경친화적이라고 홍보하는 제품이 많지만, 실제 들여다보면 생분해 조건으로 처리 못 하는 게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PLA 플라스틱은 60도 안팎 온도에서 6개월 이내에 90% 이상 분해돼야 하는데, 이를 맞추기 쉽지 않으니 잘 썩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생분해 제품을 쓰면 일회용품 규제에서 제외된다’고 강조하는 제조사들이 플라스틱 사용을 되레 조장할 수 있다는 걱정도 한다. 옥수수 등 원료를 대량 생산하기 위한 유전자 변형 식물 증가 같은 새로운 부작용도 우려한다.

이들 단체는 환경 파괴를 막기 위해 다회용기 사용 등 근본적인 플라스틱 감축을 지향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허승은 녹색연합 녹색사회팀장은 “탄소 발생량 등을 따져 생분해 소재를 일부 쓸 수 있다. 하지만 산업적 전환이나 생활 방식의 변화 없이 생분해가 플라스틱 문제 해결 1순위가 되는 건 경계해야 한다”면서 “플라스틱 생산 자체를 줄이고 다회용기를 쓰는 게 궁극적 대안”이라고 말했다.

양측 의견이 갈리다 보니 정부의 고민도 이어진다. 내년부터는 재활용이 가능한 바이오PP 등의 분리배출 표시를 신설한다. 바이오매스 기반이지만 생분해되지 않는 플라스틱의 별도 배출을 촉진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생분해 플라스틱 처리는 여전히 애매하다. 투명 페트병처럼 별도 분리배출 체계를 구축하려니 비용이나 아파트 단지 내 공간 제공 등의 문제가 만만치 않고, 막상 따로 수거해도 퇴비로 만들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퇴비화 시설이 따로 갖춰지지 않은데다, 생분해 수지로 만든 퇴비 등급이 농민이 원하는 수준을 맞추지 못 하는 편이다.

폐기물 직매립 금지 원칙에 따라 앞으로 일반 쓰레기 상당수를 소각하게 되는 것도 고민거리다. 자연 분해가 아닌 소각으로 직결되면 ‘순환 경제’와 거리가 멀 수밖에 없다. 정부로선 ‘화이트 바이오’ 정책 등을 통해 생분해 플라스틱 산업을 육성하는 방안도 동시에 진행하다 보니 딜레마에 빠질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생분해 수지 인증 대상을 조정하거나 폐기물 배출을 좀 더 구체적으로 안내하는 수준의 대안부터 고려하고 있다. 환경표지 기준을 엄격히 적용해 어구·어망 등 수거가 쉽지 않은 제품 중심으로 ‘생분해’를 인증해줄 것으로 보인다. 2017년 101개에서 지난달 말 416개로 늘어난 생분해성 수지 인증 제품이 줄어들 수 있다는 의미다. 정부 관계자는 “생분해 수지가 적절한 용도에 쓰이도록 조정하겠다는 취지다. 올 하반기 환경표지 인증을 개정하면서 업계와의 논의, 대국민 홍보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결국 새로운 플라스틱 트렌드에 맞춰 정부가 세심한 정책을 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일반 플라스틱, 생분해 플라스틱, 바이오 플라스틱 등이 공존하는 전환기를 잘 넘겨 탈(脫) 석유 플라스틱으로 갈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홍수열 소장은 “장기적으로는 석유로 만든 플라스틱을 식물로 만든 플라스틱으로 어떻게 전환할지가 중요하다. 세금 부과, 기술 개발 등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식물 소재 사용량이 확대될 수 있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기적으로 생분해 플라스틱은 어구, 농업용 비닐 등 쓰레기 투기가 잘 일어나는 영역에 우선 보급하는 반면, 재활용이 가능한 분야는 재활용되는 소재를 권장하는 쪽으로 가야 한다. 생분해 소재를 단순히 일회용 위주로 쓰는 건 지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별취재팀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바이오 플라스틱, 장점과 단점을 알아볼까요?

플라스틱은 현재 우리 세계에서 없어서는 안될 소재입니다.

사용량이 많은 만큼 플라스틱 또한 많이 버려져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그리고 플라스틱은 비싼 석유를 이용해서 만드는 제품이기 때문에 자원소비가 매우 심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잘 알고 즐겨 먹는 옥수수로 플라스틱을 만든다고 하면 어떨까요?

1. 바이오 플라스틱이란?

바이오매스(Biomass)를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한 고분자 플라스틱을 말합니다.

기존의 바이오 플라스틱은 생분해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생분해성 특성을 가진 고분자를 바이오 플라스틱이라고 하였으나, 최근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바이오메스 플라스틱으로 나누어지고 있습니다.

우선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미생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친환경 플라스틱. 미생물이 생산하는 플라스틱으로 전분이나 셀룰로스 등 천연 소재를 이용해서 만들거나 분해성 화학합성물을 추가해서 생산합니다.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은 식물자원을 원료로 한 플라스틱입니다. 일정량의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성분을 함유합니다. 폐기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미생물이 배출하는 분해요소에 의해 자연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한 종류라고 보시면 됩니다.

2. 옥수수의 변천사

옥수수는 현대사회에서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그럼 옥수수를 이용한 바이오 플라스틱 제품들을 알아볼까요?

데님 청바지, 카펫, 음료수 PET병, 프린터, 핸드폰 등이 옥수수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데님 청바지 우리가 즐겨 입는 데님바지에도 옥수수를 원료로 만든 바이오 플라스틱 섬유가 들어가 있습니다. 신축성이 좋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많이 이용되고 있지요.

카펫 외국의 경우 사시사철, 한국은 겨울철에 집 거실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데님청바지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섬유를 이용해서 가공한 제품들이 많이 있습니다.

음료수 PET병 세계적인 음료회사인 코카콜라와 펩시가 식물기반으로 재생 가능한 플라스틱을 놓고 경쟁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펩시는 2010년 세계 최초로 재생이 가능한 플라스틱 PET병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옥수수 껍질, 소나무 껍질, 수수 속 등 바이오기반 원자재로 제조되고, 향후 토마토, 오렌지 껍질 등 원자재의 비율이 늘어날 전망입니다. 경쟁사인 코카콜라는 2012년, 펩시와 마찬가지로 PET병 구성 중 식물 비율을 30%까지 늘렸답니다.

프린터 후지 제록스의 프린터와 복합기는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을 내부의 드럼 카트리지 커버에 도입했습니다. 이 프린터의 드럼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기존 제품보다 16%가량 감소 시켰습니다.

휴대전화 삼성에서는 2008년 옥수수 전분을 이용한 휴대전화를 국내에 출시했습니다. 제일모직에서 개발한 바이오플라스틱을 40%정도 제품의 소재에 이용했습니다. 그 후 국내 휴대전화 최초로 환경마크를 획득했습니다.

위에 소개드린 제품들은 바이오 플라스틱 기반 제품들 중 극히 일부에 불과한데요. 실질적으로 인지하지는 못하지만 환경에 대해 많은 고민하고 실천하는 기업이 지속해서 늘고 있답니다 ^^

3. 바이오 플라스틱의 장,단점

이렇게 좋아만 보이는 바이오 플라스틱도 단점은 있습니다. 그럼 다시 한 번 바이오 플라스틱의 장,단점에 대해서 함께 알아볼까요?

바이오 플라스틱의 장점 석유와 상관없이 식물에서 추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변동이 큰 원유가격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연소 시에 유독가스가 적어 화재나 연소 폐기 시에 장점이 있고요. 토양에 매립할 경우 몇 십, 몇 백년이 가는 플라스틱과는 다르게 1~2년 안에 물/이산화탄소, 물/메탄가스 등으로 분해되어 환경오혐의 위험이 적습니다.

바이오 플라스틱의 단점 일반 플라스틱에 비해 강도나 신장율 등 물리적 특성이나 가공성이 취약합니다. 그리고 개발비에 따른 부담으로 기존 제품의 대체 및 응용 분야의 확대가 지연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아직까지 기존 플라스틱 제품에 비해 단가가 높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분해기간 조절이 어려운데요. 바이오플라스틱을 이용해 용기를 만들었는데, 용기의 수명이 1년 밖에 되지 않는다면 문제가 되겠죠? 여기에 장점으로 알려진 가격, 재생성에 관해서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변재현 에너지로거의 칼럼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아요^^

이상으로 미래형 대체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는 바이오 플라스틱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바이오 플라스틱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가 더 많이 개발되어서 미래의 에너지 고민을 덜었으면 좋겠습니다!

차세대 플라스틱으로 기대 받던 썩는 플라스틱, 왜 외면 받고 있나

차세대 플라스틱으로 기대 받던 썩는 플라스틱, 왜 외면 받고 있나

18기 이유나

코로나 19가 1년 가까이 장기화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는 우리의 일상이 되었다. 이로 인해 생각지 못했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급증한 일회용기 사용량으로 인해 폐플라스틱이 늘어난 것이다. 올해 상반기 플라스틱 폐기물량은 848t으로, 전년 동일 기간 발생량인 733.7t 대비 약 15.6% 증가한 수치이다. 코로나19 확산 이전에도 국내 폐플라스틱 발생량은 증가하는 추세였다. 최근 10년간 생활 폐플라스틱 발생량은 72% 이상 증가했고, 합성 수지 포장재 출고량은 무려 100% 이상 증가했다. 그러나 코로나 19 확산 이후 유가가 급락하고 재활용 시장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폐기물 수거업체들도 위기에 놓인 실정이다.

[자료 1. 코로나19로 급증한 폐기물량과 국내 폐플라스틱 발생량]

출처: 매일경제

전세계적인 폐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친환경 플라스틱 연구와 개발이 진행중이다. 대표적인 것이 썩는 플라스틱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다.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은 사탕수수, 옥수수, 나무, 볏짚 등으로 생산된 바이오 매스 기반 단량체와 석유 부산물 기반 단량체를 종합해 제조한 고분자 물질이다. 이것은 박테리아나 살아있는 유기체에 의해 분해가 가능하며, 이용된 후 이산화탄소, 질소, 물, 생물유기자원, 무기염료 등의 천연 부산물을 내놓는다. 즉,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상용화되면 생물유기자원을 이용하는 생산이 가능하고 사용 후에는 다시 생물유기자원의 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는 플라스틱이 유발하는 여러 환경문제뿐만 아니라 자원 부족 문제 역시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러 전문가들과 국가들에게서 전폭적인 지지를 얻기도 했다.

대표적인 나라 중 하나로 캐나다가 있다. 캐나다 정부는 최근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금지에 대한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조나단 윌킨슨 캐나다 환경부 장관은 2021년 말까지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금지 규정 도입을 위한 입법 절차를 확정할 계획이다. 이 규정이 도입되고 공식적으로 발표되는 순간부터 모든 사업체들은 종이빨대, 비닐봉지, 음료 묶음 고리, 플라스틱 식기류, 배달 음식 용기 등 일회용이거나 재활용이 어려운 플라스틱을 금지하고 이를 대체할 용품을 사용해야 한다. 코로나19 관련 방역용품과 의학용품의 플라스틱 물품은 규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일회용 플라스틱 대체품을 개발하기 위해 환경부 장관은 200만 달러 지원을 약속했으며, 해당 프로젝트 주요 내용은 폐플라스틱 수집 및 재활용 전략, 해양 미세 플라스틱 검출 테스트, 식품 포장용기 대체품 개발, 산업별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 현황 등이다.

[자료 2. 사용 금지 예정인 일회용 플라스틱 품목 및 대체품]

출처: 투데이에너지

우리나라 역시 작년 4월부터 상점가에서 일회용 비닐봉지 사용을 금지했으며 2018년부터 커피 전문점과 패스트푸드 점에서 플라스틱 빨대 등의 일회용품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예전 비 오는 날 지하철에 있던 우산 비닐도 최근에는 볼 수 없다. 이처럼 여러 나라에서 기존 플라스틱 품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이를 대체하는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주목받으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활발한 연구와 달리 일상에서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보기는 쉽지 않다.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규제만 강화될 뿐, 생분해성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정책은 시행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오랜 시간 동안 개발된 것에 비해 상용화가 더딘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나라에서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기존 플라스틱을 대체하기엔 가격을 포함하여 여러 한계점이 있다. 가장 먼저, 현재 생분해 플라스틱은 환경부의 인증을 받기 힘들다. 생산부터 폐기까지 각 단계에서 환경품질 기준을 통과한 후에야 생분해 플라스틱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생분해 기능에 대한 인증만 받으면 되는 다른 나라에 비해 인증 절차가 복잡하고 오래 걸리는 것이다. 이렇듯 인증 기준이 해외와 다르므로 수입하는 것도 쉽지 않다. 또한, 인증을 받았다고 해도 자연 상태에서는 쉽게 썩지 않는다는 점 역시 한계이다. 플라스틱이 의도대로 분해되기 위해서는 일정 열이 가해져야 되기 때문이다. 환경부에서는 약 58℃±2℃ 조건에서 90% 정도 분해된 제품에만 인증을 내준다. 그러므로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기존 플라스틱처럼 버리게 되면 제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자연환경과 인증조건 사이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즉,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이용하더라도 처리 과정에서 조건이 성립하지 않으면 환경오염이 크게 줄지 않을 것이다.

한편 생분해 플라스틱은 천연계 분해성 플라스틱과 석유계 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천연계 분해성 플라스틱은 옥수수, 전분, 사탕수수 등을 활용하여 만들고 석유계 분해성 플라스틱은 석유 성분을 화학적으로 가공해 만든다. 이중 천연계 분해성 플라스틱이 분해성이 더 좋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오히려 천연계 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인해 환경오염이 더 악화될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주재료가 전분인 만큼, 플라스틱을 대량 생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곡물을 생산할 넓은 농경지가 필요하다. 언뜻 보면 농경지와 환경 사이의 관련이 적어 보이지만, 대단위 농경지가 늘면 퇴비나 농약 등의 사용 증가로 주변 환경이 오염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분해성이 크다는 장점 뒤에는 강도가 약하다는 한계가 있다. 천연계 분해성 플라스틱은 내구성이 약해 음식을 담기에도 무리가 있다.

앞서 언급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문제점을 보면, 생분해 플라스틱과 기존 플라스틱 제품이 공존하기 힘들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약한 내구성으로 인해 재활용이 불가능하며 매립할 수도 없다. 특정 조건이 갖춰진 환경에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생분해 플라스틱과 기존 플라스틱을 따로 모아 처분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 재활용도 완벽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시점에서 플라스틱 종류에 따라 분류를 새로 나누게 되면, 분리 배출 및 수거가 제대로 이루어질지 의문이다. 생분해 플라스틱이 재활용 공장으로 수거된다면 이를 골라내는데 추가적인 시간과 비용 문제로 오히려 플라스틱 재활용 과정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즉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기존 플라스틱을 완전하게 대체할 수 있는 시점에서야 생분해 플라스틱이 비로소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이유들로 현재 환경부는 일반 플라스틱 제조 과정에서 환경오염을 줄이고 재활용을 활성화하는 방안에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여러 한계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플라스틱을 대체할 제품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어야 한다. 우리의 삶 깊숙이 스며든 플라스틱은 지구 온난화 뿐 아니라 인류, 여러 생물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국내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연구하는 기업으로 LG 화학, SKC, CJ 제일제당 등이 있는데, 친환경 플라스틱 개발 성과 발표를 통해 생분해 플라스틱이 가진 약점들을 하나씩 개선해 나가고 있음을 알리고 있다. 내구성을 높여 생분해 플라스틱의 사용 가능성을 높이는 곳도 있으며 분해 성능을 개선해 상온에서도 분해 가능한 플라스틱을 개발하는 곳도 있다. 아직은 생분해 플라스틱을 상업화 하기에 여러 한계가 있지만, 기존 플라스틱 시장이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이 분명하므로 생분해 플라스틱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이처럼 다양한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자료 3. 기업별 생분해성 플라스틱]

출처: 신동아

1. 이종화, “코로나로 넘쳐나는 폐플라스틱, 연료로 쓰는 `에너지화`가 대안”, 매일경제, 이종화 기자, 2020.11.16.,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0/11/1178438/

2. “생분해성 플라스틱” 네이버 지식백과, 화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3203&cid=62802&categoryId=62802

3. 류희선, “캐나다,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금지 공식 시행 계획 발표”, 투데이에너지, 2020.11.16.,

https://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230900

4. 이근영, “비닐봉지의 역설…종이봉투와 생분해 플라스틱의 불편한 진실”, 한겨례, 2020.10.20.,

https://n.news.naver.com/article/028/0002516897?cds=news_my

5. 박세준, “‘썩는 플라스틱’이 외면 받는 3가지 이유”, 신동아, 2020.10.23., https://shindonga.donga.com/3/all/13/2217576/1

6. 박세준, “LG화학·CJ제일제당·SKC ‘썩는 플라스틱’ 개발 전쟁”, 신동아, 2020.11.17., https://shindonga.donga.com/3/all/13/2242979/1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생분해 성 플라스틱 단점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생분해성 플라스틱 한계, 생분해성 플라스틱 상용화, 바이오 플라스틱 단점, 생분해성 플라스틱 종류, 바이오플라스틱 전망, 생분해성 플라스틱 가격, 생분해성 플라스틱 이용 사례, 생분해성 플라스틱 분리수거

See also  Top 34 주 안에 있는 나 에게 악보 29284 People Liked This Answer
See also  Top 36 디딤돌 초등 수학 응용 6 2 답지 The 34 New Answer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