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28 시스템 비계 강관 비계 175 Most Correct Answers

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시스템 비계 강관 비계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Toplist.aseanseafoodexpo.com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시스템 비계 강관 비계 강관비계 강관틀비계 차이, 시스템비계 설치지침, 시스템비계 규격, 시스템비계 의무화, 시스템비계 종류, 시스템비계란, 시스템비계 명칭, 강관비계 강관틀비계 장단점


시스템비계 설치 순서 [가설안전이엔씨]
시스템비계 설치 순서 [가설안전이엔씨]


시스템 비계의 이점(강관 비계와의 차이)

  • Article author: gentle-bear.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8525 ⭐ Ratings
  • Top rated: 4.8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시스템 비계의 이점(강관 비계와의 차이) 특히 비계라는 구조물때문에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최근 국가에서는 이런 비계 작업중 떨어짐 사고를 줄이기 위해 기존 강관 비계에서 시스템 비계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시스템 비계의 이점(강관 비계와의 차이) 특히 비계라는 구조물때문에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최근 국가에서는 이런 비계 작업중 떨어짐 사고를 줄이기 위해 기존 강관 비계에서 시스템 비계 … 안녕하세요 건축가 젠틀한 곰돌이 입니다. 여러분들 건설업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재해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바로 떨어짐으로 발생하는 사고 입니다. 특히 비계라는 구조물때문에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최근..
  • Table of Contents:

시스템 비계의 이점(강관 비계와의 차이)

태그

‘건축 이야기’ Related Articles

티스토리툴바

시스템 비계의 이점(강관 비계와의 차이)
시스템 비계의 이점(강관 비계와의 차이)

Read More

[안전] 시스템비계와 강관비계의 차이점은?? 비계의 특성에 대해!!

  • Article author: hofu.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43669 ⭐ Ratings
  • Top rated: 4.2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안전] 시스템비계와 강관비계의 차이점은?? 비계의 특성에 대해!! 안녕하세요 !! 오늘은 시스템 비계와 강관비계의 차이점에 대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두 개 모두 건설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인데 그 정확한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안전] 시스템비계와 강관비계의 차이점은?? 비계의 특성에 대해!! 안녕하세요 !! 오늘은 시스템 비계와 강관비계의 차이점에 대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두 개 모두 건설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인데 그 정확한 … 안녕하세요 !! 오늘은 시스템 비계와 강관비계의 차이점에 대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두 개 모두 건설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인데 그 정확한 차이를 모르는 분이 있으실까바 가져온 포스팅입니다!! 1. 시..모든 것에 감사하기
  • Table of Contents:
[안전] 시스템비계와 강관비계의 차이점은 비계의 특성에 대해!!

1 시스템 비계 (System Scaffolding)

2 강관비계 (Pipe Scaffolding Clamp Scaffolding)

티스토리툴바

[안전] 시스템비계와 강관비계의 차이점은?? 비계의 특성에 대해!!
[안전] 시스템비계와 강관비계의 차이점은?? 비계의 특성에 대해!!

Read More

강관비계와 시스템비계 비교 : 네이버 블로그

  • Article author: blog.naver.com
  • Reviews from users: 47508 ⭐ Ratings
  • Top rated: 3.2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강관비계와 시스템비계 비교 : 네이버 블로그 시스템비계는 비계 조립시 작업발판, 가설통로 및 안전난간을 일괄적으로 설치하고 안전대를 착용하고 작업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강관비계에 비하여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강관비계와 시스템비계 비교 : 네이버 블로그 시스템비계는 비계 조립시 작업발판, 가설통로 및 안전난간을 일괄적으로 설치하고 안전대를 착용하고 작업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강관비계에 비하여 …
  • Table of Contents:

블로그

악성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파일입니다

작성자 이외의 방문자에게는 이용이 제한되었습니다

강관비계와 시스템비계 비교 : 네이버 블로그
강관비계와 시스템비계 비교 : 네이버 블로그

Read More

비계 조립 및 해체 작업 안전 (강관비계 및 강관틀비계)

  • Article author: ulsansafety.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27369 ⭐ Ratings
  • Top rated: 4.6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비계 조립 및 해체 작업 안전 (강관비계 및 강관틀비계) 강관 비계 : 강관을 이음철물이나 연결철물(클램프)을 이용하여 조립한 비계 강관비계의 구성 … [건설현장] 시스템비계 설치 작업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비계 조립 및 해체 작업 안전 (강관비계 및 강관틀비계) 강관 비계 : 강관을 이음철물이나 연결철물(클램프)을 이용하여 조립한 비계 강관비계의 구성 … [건설현장] 시스템비계 설치 작업 … 비계 조립 및 해체 작업 안전 (강관비계 및 강관틀비계)  1 비계 작업 안전  비계란 ? 건설현장에서 근로자가 지상, 바닥으로부터 손이 닿지 않는 높은 곳을 시공할 수 있도록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작업발..
  • Table of Contents:

태그

‘S-안전건설안전’ Related Articles

티스토리툴바

비계 조립 및 해체 작업 안전 (강관비계 및 강관틀비계)
비계 조립 및 해체 작업 안전 (강관비계 및 강관틀비계)

Read More

(주)동성진흥 – 시스템비계 특징 및 장단점

  • Article author: www.dsjh.co.kr
  • Reviews from users: 34948 ⭐ Ratings
  • Top rated: 4.7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주)동성진흥 – 시스템비계 특징 및 장단점 시스템비계의 안정된 구조는 건설 재해 예방은 물론,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켜주며, … ㆍ비계 모서리 등에 강관이 튀어나와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음.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주)동성진흥 – 시스템비계 특징 및 장단점 시스템비계의 안정된 구조는 건설 재해 예방은 물론,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켜주며, … ㆍ비계 모서리 등에 강관이 튀어나와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음. (주)동성진흥,주요사업,가설재 임대 사업부
  • Table of Contents:
(주)동성진흥 - 시스템비계 특징 및 장단점
(주)동성진흥 – 시스템비계 특징 및 장단점

Read More

나. 건. 전

  • Article author: blog.daum.net
  • Reviews from users: 10835 ⭐ Ratings
  • Top rated: 4.7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나. 건. 전 강관비계는 ㎡당14,807원이고, 시스템비계는 발판1줄이면 ㎡당14,340원이고, 발판2줄이면 17,180원이다. 단가대비 발판1줄이면 시스템비계가 467원이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나. 건. 전 강관비계는 ㎡당14,807원이고, 시스템비계는 발판1줄이면 ㎡당14,340원이고, 발판2줄이면 17,180원이다. 단가대비 발판1줄이면 시스템비계가 467원이 … 강관비계와 시스템비계 둘중에 하나를 선택하라면 어느것을 선택하겠습니까? 이 글에서는 단가적인 측면과 시공적인 측면을 비교하여 서술해보겠으니, 평가바랍니다. 첫번째로 단가적인 측면에서 비교해보자. 2015..나. 건. 전 [나는 건설인의 전설이다]♣ 건설..나. 건. 전
  • Table of Contents:
나. 건. 전
나. 건. 전

Read More

시스템 비계 강관 비계

  • Article author: www.moel.go.kr
  • Reviews from users: 37176 ⭐ Ratings
  • Top rated: 5.0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시스템 비계 강관 비계 ➀ 외부 쌍줄비계에서 이동 중 추락. ➁ 안전작업방법(강관비계, 시스템비계). ➂ 건설현장 비계 설치 작업 시 주의사항.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시스템 비계 강관 비계 ➀ 외부 쌍줄비계에서 이동 중 추락. ➁ 안전작업방법(강관비계, 시스템비계). ➂ 건설현장 비계 설치 작업 시 주의사항.
  • Table of Contents:
See also  Top 14 엄마 아빠 께 가사 Top Answer Update
시스템 비계 강관 비계
시스템 비계 강관 비계

Read More

52G :: 시스템비계 설치기준, 의무화 도입

  • Article author: 52gram.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343 ⭐ Ratings
  • Top rated: 3.3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52G :: 시스템비계 설치기준, 의무화 도입 비계는 조립식 비계와 이동식 비계로 구분되는데 조립식 비계에는 강관비계, 시스템비계가 해당하며 미동식 비계는 달비계, 강관틀비계, 말비계 등이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52G :: 시스템비계 설치기준, 의무화 도입 비계는 조립식 비계와 이동식 비계로 구분되는데 조립식 비계에는 강관비계, 시스템비계가 해당하며 미동식 비계는 달비계, 강관틀비계, 말비계 등이 … 여러가지 자재와 중장비, 많은 사람이 드나드는 건설 현장은 관련 업계 종사자가 아니라 하더라도 그 위험성을 쉽게 느낄 수 있습니다. 실제로 건설현장에서는 여러가지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데 그 중 대표적인..가볍고 쉽게 여러가지 소식을 설명합니다. 🙂
  • Table of Contents:
52G :: 시스템비계 설치기준, 의무화 도입
52G :: 시스템비계 설치기준, 의무화 도입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Toplist.aseanseafoodexpo.com/blog.

시스템 비계의 이점(강관 비계와의 차이)

안녕하세요 건축가 젠틀한 곰돌이 입니다. 여러분들 건설업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재해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바로 떨어짐으로 발생하는 사고 입니다. 특히 비계라는 구조물때문에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최근 국가에서는 이런 비계 작업중 떨어짐 사고를 줄이기 위해 기존 강관 비계에서 시스템 비계로 바꾸기를 권고하고 많은 클린사업이라는 것을 통해 많은 지원을 해주고 있기도 하죠. 그래서 오늘은 강관 비계와 비교하며 시스템 비계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시스템 비계의 이점(강관 비계와의 차이)

건설업 사고사망자 발생현황

최근 건설업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재해는 떨어짐 사고이며, 건설업 사망재해의 약 60% 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설업 떨어짐 사고 중 26%가 비계 설치 현장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20억 미만의 소규모 공사 현장에서는 안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비계로 인한 추락사고율의 많은 부분을 20억 미만의 현장에서 차지하는 것을 확일 할 수있습니다.

기존 강관 비계의 문제점

비계작업은 가설공사라는 이유로 설계도서, 시방서 또는 안전기준에 의하여 작업하기보다 시공자가 현장에서 공사에 맞게 임의로 설치하거나, 작업의 편의를 위해 주요 부재를 누락하거나 안전시설을 생략하여 떨어짐 및 무너짐 등의 재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발판과 난간등 주요부재를 따로 설치하여야 하는 재래식 작업발판(강관 비계)은 주요 부재인 발판, 난간등을 일일이 클램프와 같은 연결철물로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비용을 아끼기 위해 자재를 빼거나 제대로 설치 하지 않은 경우가 많이 생기게 됩니다. 이런 경우 작업자가 발판이 아닌 곳을 밟고 작업하는 경우가 생기고 발판이 제대로 설치 되지 않은 곳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추락사고가 많이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고층 건물에서 강관 비계는 일일이 연결철물로 작업하기 때문에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것 자체가 위험한 작업이 될 수 있습니다.

시스템 비계와 강관 비계 비교

이 대책으로 시스템 비계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시스템 비계(일체형 작업발판)은 지지대, 발판, 난간 자재와 연결 부속품을 조립형 모듈로 제작해 일체 구조로 거동할 수 있는 구조 이므로 발판과 난간을 따로 설치하여야 하는 강관 비계에 비해 구조적으로 안전성이 우수합니다. 또한 기존 강관 비계가 일일이 따로 주요 부재를 연결철물로 고정해야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누락과 부실설치를 보완해 보다 불량으로 설치될 가능성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로서 추락 사고율이 줄어 들 수 있습니다.

시스템 비계가 설치된 현장에서는 추락 재해가 크게 줄고 있습니다. 정부에 자료에 따르면 시스템 비계 설치를 지원 한 건설현장에서 비계 떨어짐 재해 비율은 지난해 기준으로 1.3%입니다. 반면 시스템 비계를 지원하지 않은 현장의 비계 떨어짐 재해율은 5.9%입니다. 시스템 비계가 설치되지 않은 현장의 재해율이 설치된 현장의 재해율보다 4배 이상 높은 셈입니다. 또한 일본의 선행 사례를 보면 시스템 비계를 도입 후 13년간 사망자가 약 80% 정도 감소 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 추락사고 방지 종합대책으로 시스템 비계 사용을 권장하고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에 따르면 정부는 2020년 시스템 비계(작업 발판) 지원 예산을 544억 원으로 편성해 올해보다 233억 원가량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설공사 즉 비계는 설치하면 해체해야하는 가시설물이기 때문에 이것에 대한 비용을 크게 쓰고 싶어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아직은 정부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전체 건설 현장의 시스템 비계 보급률이 17% 남짓 밖에 되지 않습니다.

[안전] 시스템비계와 강관비계의 차이점은?? 비계의 특성에 대해!!

728×90

반응형

안녕하세요 !! 오늘은 시스템 비계와 강관비계의 차이점에 대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두 개 모두 건설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인데 그 정확한 차이를 모르는 분이 있으실까바 가져온 포스팅입니다!!

1. 시스템 비계 (System Scaffolding)

1) 조립 및 해체

– 규격화된 수직재와 수평재 등 부재를 블록쌓기와 같이 조립하여 시간과 인력이 절약

– 작업발판 및 안전난간대를 병행 조립하여 안전성 증대

– 해체작업도 비교적 안전

2) 후속공정 및 작업자의 안전

– 기둥 간격 등이 일정하여 수직분진망 설치 등 주후 공정이 용이하고 공기단축이 가능

– 비계 모서리 등이 깔끔하여 별도의 덮개 등 불필요

3) 관리감독

– 외벽과의 이격거리 등 기초 데이터만 제공되면 별도의 관리감독 요소가 상대적으로 작다

4) 작업자의 숙련도

– 최초 하부구조를 설치한 후에는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안전하게 조립/해체가 가능

5) 구조적 안정성

– 조립식 구조로 부재의 누락 위험성이 없음

– 작업발판 규격에 맞춰 생산되어 설치 작업이 용이함

2. 강관비계 (Pipe Scaffolding / Clamp Scaffolding)

1) 조립 및 해체

– 작업발판과 안전난간을 기본 비계구조물 조립후 시공하여 추락사고 등 재해발생 우려

– 강관 기둥 간의 간격이 다양하여 일률적으로 동일 규격의 작업대를 발판으로 시공하기 보다는 통로용 작업발판 사용으로 발판 겹침시공

– 내민보 형상 등 재해 발생 요인의 구조가 될 우려가 있다.

2) 후속공정 및 작업자의 안전 – 기둥 간격 등이 일정하지 못하여 수직분진망 설치시 망치를 말아 시공하는 등 불필요한 비용 및 공기가 추가됨

– 비계 모서리 등에 강관이 튀어나와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음

3) 관리감독

–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전 작업지시 및 작업 중 감독이 필요함

4) 작업자의 숙련도

– 설치자의 숙련도에 따라 비계구조와 안전성이 달라짐

5) 구조적 안정성

– 안전난간 임의설치

– 작업발판 설치를 위해서 간격조정 및 수평재 추가설치 고려

항목 시스템비계 (System Scaffolding) 강관비계 (Pipe Scaffolding) 조립 및 해체 – 규격화된 수직재와 수평재 등 부재를 블록쌓기와 같이 조립하여 시간과 인력이 절약

– 작업발판 및 안전난간대를 병행 조립하여 안전성 증대 – 해체작업도 비교적 안전 – 작업발판과 안전난간을 기본 비계구조물 조립후 시공하여 추락사고 등 재해발생 우려 – 강관 기둥 간의 간격이 다양하여 일률적으로 동일 규격의 작업대를 발판으로 시공하기 보다는 통로용 작업발판 사용으로 발판 겹침시공 – 내민보 형상 등 재해 발생 요인의 구조가 될 우려가 있다. 후속 공정 및 작업자의 안전 – 기둥 간격 등이 일정하여 수직분진망 설치 등 주후 공정이 용이하고 공기단축이 가능 – 비계 모서리 등이 깔끔하여 별도의 덮개 등 불필요 – 기둥 간격 등이 일정하지 못하여 수직분진망 설치시 망치를 말아 시공하는 등 불필요한 비용 및 공기가 추가됨 – 비계 모서리 등에 강관이 튀어나와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음 관리감독 – 외벽과의 이격거리 등 기초 데이터만 제공되면 별도의 관리감독 요소가 상대적으로 작다 –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전 작업지시 및 작업 중 감독이 필요함 작업자 숙련도 – 최초 하부구조를 설치한 후에는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안전하게 조립/해체가 가능 – 설치자의 숙련도에 따라 비계구조와 안전성이 달라짐 구조적 안정성 – 조립식 구조로 부재의 누락 위험성이 없음 – 작업발판 규격에 맞춰 생산되어 설치 작업이 용이함 – 안전난간 임의설치 – 작업발판 설치를 위해서 간격조정 및 수평재 추가설치 고려

이상으로 시스템 비계와 강관비계의 차이점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비계 조립 및 해체 작업 안전 (강관비계 및 강관틀비계)

비계 조립 및 해체 작업 안전 (강관비계 및 강관틀비계)

1 비계 작업 안전

비계란 ?

건설현장에서 근로자가 지상, 바닥으로부터 손이 닿지 않는 높은 곳을 시공할 수 있도록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작업발판 및 작업통로를 설치하기 위함을 주목적으로 하는 가설구조물을 말하며, 대부분의 건설공사에서는 철·알루미늄으로 만든 강관비계가 널리 쓰이고 있다.

비계의 재료

• 비계의 재료로 변형·부식 또는 심하게 손상된 것은 사용금지

• 강관비계(鋼管飛階)*의 재료로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한국산업표준에서 정하는 기준 이상의 것을 사용

• 강관 비계 : 강관을 이음철물이나 연결철물(클램프)을 이용하여 조립한 비계

강관비계의 구성

• 비계기둥 : 비계를 조립할 때 수직으로 세우는 부재

• 띠장 : 비계기둥에 수평으로 설치하는 부재

• 장선 : 쌍줄비계에서 띠장 사이에 수평으로 걸쳐 작업발판을 지지하는 가로재

• 가새 : 강관비계 조립시 비계기둥과 띠장을 일체화하고 비계의 도괴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비계전면에 설치

• 벽이음 철물 : 비계를 건축물의 외벽에 따라 세울 때 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 건축물의 외벽과 연결하는 재료

안전보건 안젤이 [KOSHA]

강관비계의 부품의 예

밑받침철물

강관 클램프

작업발판

강관비계 재료 기준

• 벽 연결용 철물은 방호 장치 의무안전인증 기준에 적합한 재료

• 클램프는 방호장치 의무안전인증 기준에 적합한 재료

• 단관비계용 강관은 자율안전확인신고 기준에 적합한 재료​

※ 의무안전인증 및 자율안전확인신고 제품 확인방법(파이프 양단에 각인)

작업발판의 구조

• 비계(달비계, 달대비계* 및 말비계**는 제외)의 높이가 2m 이상인 작업장소에 다음의 기준에 맞는 작업발판을 설치

* 달대비계 : 철골공사의 리벳치기, 볼트 작업 시 이용되는 것으로서 상하로 이동시킬 수 없는 것이 단점이며, 철골조립 작업개소마다 설치한다.

** 말비계 : 이동식비계 설치가 곤란한 낮은 곳, 협소한 공간에서의 미장 및 견출, 철근조립, 형틀조립·해체시 사용되는 비계를 말한다.

• 발판재료는 작업할 때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한 것으로 할 것

• 작업발판의 폭은 40cm 이상으로 하고, 발판재료 간의 틈은 3cm 이하로 할 것.

(단, 외줄비계**의 경우 고용노동부장관이 별도로 정하는 기준에 따름)

** 외줄비계 : 비계기둥을 1열로 하는 비계를 외줄비계라 하며, 작업발판이 없기 때문에 그 위에서 작업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줄비계에 작업발판을 설치한 것이 브래킷(bracket) 외줄비계 또는 띠장판(작업발판) 외줄비계라고 한다.

• 상기에도 불구하고 선박 및 보트 건조작업의 경우 선박블록, 엔진실 등의 좁은 작업공간에 작업발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하면 작업발판의 폭을 30cm 이상으로 할 수 있고, 걸침비계의 경우 강관기둥 때문에 발판재료 간의 틈을 3cm 이하로 유지하기 곤란하면 5cm 이하로 할 수 있음. 이 경우 그 틈 사이로 물체 등이 떨어질 우려가 있는 곳에 출입금지 등의 조치 실시

• 추락 위험이 있는 장소에 안전난간을 설치(단, 작업의 성질상 안전난간을 설치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 작업의 필요상 임시로 안전난간을 해체할 때에 안전방망을 설치하거나 근로자로 하여금 안전대를 사용하도록 하는 등 추락위험 방지조

치를 한 경우 예외)

• 작업발판의 지지물은 하중에 의하여 파괴될 우려가 없는 것을 사용

• 작업발판재료는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둘 이상의 지지물에 연결하거나 고정

• 작업발판을 작업에 따라 이동시킬 경우 위험 방지에 필요한 조치 실시

비계 등의 조립·해체 및 변경

• 달비계, 높이 5m 이상의 비계를 조립·해체하거나 변경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다음의 사항을 준수

• 근로자가 관리감독자의 지휘에 따라 작업

• 조립·해체 또는 변경의 시기·범위 및 절차를 그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 주지

• 조립·해체 또는 변경 작업구역에는 해당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아닌 사람의 출입을 금지하고 그 내용을 보기 쉬운

장소에 게시

• 비, 눈, 그 밖의 기상상태의 불안정으로 날씨가 몹시 나쁜 경우에는 그 작업을 중지

• 비계재료의 연결·해체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폭 20cm 이상의 발판을 설치하고 근로자로 하여금 안전대를 사용하도록 하는 등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 실시

• 재료·기구 또는 공구 등을 올리거나 내리는 경우에는 근로자가 달줄 또는 달포대 등을 사용하도록 조치

[벽이음 설치]

이음을 벽면 외부에 앵커 등으로 실시하기 곤란한 경우는 요구되는 조건과 지지할 구조체면의 특성에 따라 다음 사항을 참고하여 적합한 것을 선정

• 박스형 벽이음재(box ties): 건물의 기둥과 같은 구조체에 강관과 클램프를 사각형 형태로 둘러싸서 비계를 벽이음 하는 방식

• 립형 벽이음재(lip ties): 박스형 벽이음재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 건물 전면의 형상과 조건에 따라 강관과 클램프를 갈고리 형태로 조립하여 비계를 벽이음 하는 방식

• 창틀용 벽이음재(reveal ties): 창틀의 마주보는 면에 강관, 쐐기 또는 잭 등을 사용하여 지지한 후 비계를 벽이음 하는 방식

관리감독자의 유해·위험 방지 업무

• 달비계 또는 높이 5m 이상의 비계를 조립ㆍ해체, 변경하는 작업 시 아래의 업무를 수행 (해체작업의 경우 ①은 적용 제외)

➊ 재료의 결함 유무를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하는 일

➋ 기구ㆍ공구ㆍ안전대 및 안전모 등의 기능을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하는 일

➌ 작업방법 및 근로자 배치를 결정하고 작업 진행 상태를 감시하는 일

➍ 안전대와 안전모 등의 착용 상황을 감시하는 일

[건설현장] 시스템비계 설치 작업

2 비계의 점검 및 보수

발판 재료의 손상 여부 및 부착 또는 걸림 상태 해당 비계의 연결부 또는 접속부의 풀림 상태 연결 재료 및 연결 철물의 손상 또는 부식 상태 손잡이 탈락 여부 기둥 침하, 변형, 변위(變位) 또는 흔들림 상태 로프 부착 상태 및 매단 장치의 흔들림 상태

3 비계 조립 해체 작업의 자격

그렇다면 비계 조립 해체 작업의 자격은 어떻게 될까요?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비계 조립 해체 작업자의 자격 기준을 정하고 있습니다. 무자격자가 비계 조립 해체 작업을 한 경우 법적인 처법을 받을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유해·위험작업의 취업 제한에 관한 규칙 [별표 1]

자격·면허·경험 또는 기능이 필요한 작업 및 해당 자격·면허·경험 또는 기능(제3조제1항 관련)

17. 비계의 조립 및 해체작업

1)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비계기능사보 이상의 자격

2) 3개월 이상 해당 작업에 경험이 있는 사람(층높이가 10미터 미만인 작업에 한정한다)

3)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에 따른 해당 분야 직업능력개발훈련 이수자

4) 이 규칙에서 정하는 해당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이수한 사람

[별표 1] 자격ㆍ면허ㆍ경험 또는 기능이 필요한 작업 및 해당 자격ㆍ면허ㆍ경험 또는 기능(제3조제1항 관련).hwp 0.03MB

4 법규

제59조(강관비계 조립 시의 준수사항)

사업주는 강관비계를 조립하는 경우에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비계기둥에는 미끄러지거나 침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밑받침철물을 사용하거나 깔판ㆍ깔목 등을 사용하여 밑둥잡이를 설치하는 등의 조치를 할 것

2. 강관의 접속부 또는 교차부(交叉部)는 적합한 부속철물을 사용하여 접속하거나 단단히 묶을 것

3. 교차 가새로 보강할 것

4. 외줄비계ㆍ쌍줄비계 또는 돌출비계에 대해서는 다음 각 목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벽이음 및 버팀을 설치할 것. 다만, 창틀의 부착 또는 벽면의 완성 등의 작업을 위하여 벽이음 또는 버팀을 제거하는 경우, 그 밖에 작업의 필요상 부득이한 경우로서 해당 벽이음 또는 버팀 대신 비계기둥 또는 띠장에 사재(斜材)를 설치하는 등 비계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가. 강관비계의 조립 간격은 별표 5의 기준에 적합하도록 할 것

나. 강관ㆍ통나무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견고한 것으로 할 것

다. 인장재(引張材)와 압축재로 구성된 경우에는 인장재와 압축재의 간격을 1미터 이내로 할 것

5. 가공전로(架空電路)에 근접하여 비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공전로를 이설(移設)하거나 가공전로에 절연용 방호구를 장착하는 등 가공전로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할 것

제60조(강관비계의 구조)

사업주는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85미터 이하, 장선(長線) 방향에서는 1.5미터 이하로 할 것. 다만, 선박 및 보트 건조작업의 경우 안전성에 대한 구조검토를 실시하고 조립도를 작성하면 띠장 방향 및 장선 방향으로 각각 2.7미터 이하로 할 수 있다.

2. 띠장 간격은 2.0미터 이하로 할 것. 다만, 작업의 성질상 이를 준수하기가 곤란하여 쌍기둥틀 등에 의하여 해당 부분을 보강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미터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다만, 브라켓(bracket, 까치발) 등으로 보강하여 2개의 강관으로 묶을 경우 이상의 강도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킬로그램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제61조(강관의 강도 식별)

사업주는 바깥지름 및 두께가 같거나 유사하면서 강도가 다른 강관을 같은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경우 강관에 색 또는 기호를 표시하는 등 강관의 강도를 알아볼 수 있는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제62조(강관틀비계)

사업주는 강관틀 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비계기둥의 밑둥에는 밑받침 철물을 사용하여야 하며 밑받침에 고저차(高低差)가 있는 경우에는 조절형 밑받침철물을 사용하여 각각의 강관틀비계가 항상 수평 및 수직을 유지하도록 할 것

2. 높이가 20미터를 초과하거나 중량물의 적재를 수반하는 작업을 할 경우에는 주틀 간의 간격을 1.8미터 이하로 할 것

3. 주틀 간에 교차 가새를 설치하고 최상층 및 5층 이내마다 수평재를 설치할 것

4. 수직방향으로 6미터, 수평방향으로 8미터 이내마다 벽이음을 할 것

5. 길이가 띠장 방향으로 4미터 이하이고 높이가 10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0미터 이내마다 띠장 방향으로 버팀기둥을 설치할 것

시스템비계 설치 순서 [가설안전이엔씨]

5 근거 자료

C-30-2020 강관비계 안전작업지침.pdf 0.32MB [사고사례] 강관비계 해체 작업중 떨어짐.pdf 0.88MB 비계설치원 (교육자료).pdf 0.63MB 비계 재료 및 구조 등.pdf 0.80MB

링크하여 사용하는 것은 허용 됩니다. 단, 상업적 용도로 활용하는 것을 금지 합니다. 상업적 용도로 사용할 경우 [email protected]으로 동의를 받아 사용이 가능합니다. 댓글 과 공감 은 블로거에게 큰 에너지 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포스팅 일부 내용과 삽화 그림은 안전보건공단의 자료가 사용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실시간 소통

▷ SHE실무방 “카카오 오픈 채팅방” 💨 카카오톡 ①번방 해당 포스팅은 K-HSE의 나눔 활동 일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블로그 포스팅 내용은 안전보건환경에 관한 사고사례자료, 기술자료, 업무용 실무자료를 작성하여 배포하고 있습니다. 블로그 내용을됩니다. 단,은 블로거에게 큰 에너지 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립니다.SHE실무방 “카카오 오픈 채팅방” 카카오톡 ②번방

▷ ulsansafety 개인연락 ulsansafety 개인카톡 ▷ ulsansafety 개인연락

반응형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시스템 비계 강관 비계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강관비계 강관틀비계 차이, 시스템비계 설치지침, 시스템비계 규격, 시스템비계 의무화, 시스템비계 종류, 시스템비계란, 시스템비계 명칭, 강관비계 강관틀비계 장단점

Leave a Comment